삼성전자, ‘플래시 메모리 서밋 2017’서 차세대 V낸드 솔루션 공개
허주열 기자
2,865
공유하기
삼성전자가 8일 미국 산타클라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플래시 메모리 서밋 2017’에서 세계 최대용량의 V낸드와 차세대 SSD 솔루션을 선보였다.
플래시 메모리 서밋은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플래시 메모리업계 콘퍼런스다. 삼성전자는 이번 서밋에서 ▲세계 최대 용량의 ‘1Tb V낸드’ ▲서버시스템의 집적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NGSFF(Next Generation Small Form Factor) SSD’ ▲기존 SSD보다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Z-SSD’ ▲신개념 데이터 저장방식을 적용한 ‘Key Value SSD’ 등 혁신적인 V낸드 기반 신기술을 공개했다.
삼성전자가 새롭게 선보인 ‘1Tb 낸드’는 16단을 적층해 하나의 단품 패키지로 2TB를 만들 수 있어 SSD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1Tb V낸드가 적용된 최대용량의 SSD 제품은 2018년 본격 출시될 예정이다.
기존 M.2 SSD로 구성된 시스템보다 최대 4배가량 저장용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NGSFF SSD’는 4분기부터 양산을 시작해 고객 수요에 대응하고 내년 1분기에 JEDEC 표준화를 완료해 데이터센터 및 다양한 서버 고객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Z-SSD’는 최적화된 동작회로를 구성해 성능을 극대화한 하이엔드 SSD제품으로 기존 NVMe SSD 대비 읽기 응답속도가 7배 빠른 15㎲로 읽기와 쓰기를 반복하는 시스템 환경에서는 최대 12배까지 향상된 응답속도 구현이 가능하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고성능 서버용 캐시 등 빠른 응답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Z-SSD’는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서밋에서 비정형 데이터 저장에 특화된 신개념 ‘Key Value SSD’도 함께 선보였다.
기존 SSD의 경우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특정 크기로 변환해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Key Value SSD’ 기술을 적용하면 별도의 전환 과정 없이 다양한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저장할 수 있어 시스템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높일 수 있고 SSD의 수명도 향상 시킬 수 있다.
진교영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은 “지속적인 V낸드 솔루션 개발을 통해 고객 가치를 극대화 하고 향후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미래 첨단 반도체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플래시 메모리 서밋은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플래시 메모리업계 콘퍼런스다. 삼성전자는 이번 서밋에서 ▲세계 최대 용량의 ‘1Tb V낸드’ ▲서버시스템의 집적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NGSFF(Next Generation Small Form Factor) SSD’ ▲기존 SSD보다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Z-SSD’ ▲신개념 데이터 저장방식을 적용한 ‘Key Value SSD’ 등 혁신적인 V낸드 기반 신기술을 공개했다.
![]() |
기존 NVMe SSD 제품대비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하이엔드 SSD제품 ‘Z-SSD’ 이미지. /사진=삼성전자 |
삼성전자가 새롭게 선보인 ‘1Tb 낸드’는 16단을 적층해 하나의 단품 패키지로 2TB를 만들 수 있어 SSD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1Tb V낸드가 적용된 최대용량의 SSD 제품은 2018년 본격 출시될 예정이다.
기존 M.2 SSD로 구성된 시스템보다 최대 4배가량 저장용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NGSFF SSD’는 4분기부터 양산을 시작해 고객 수요에 대응하고 내년 1분기에 JEDEC 표준화를 완료해 데이터센터 및 다양한 서버 고객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Z-SSD’는 최적화된 동작회로를 구성해 성능을 극대화한 하이엔드 SSD제품으로 기존 NVMe SSD 대비 읽기 응답속도가 7배 빠른 15㎲로 읽기와 쓰기를 반복하는 시스템 환경에서는 최대 12배까지 향상된 응답속도 구현이 가능하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고성능 서버용 캐시 등 빠른 응답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Z-SSD’는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서밋에서 비정형 데이터 저장에 특화된 신개념 ‘Key Value SSD’도 함께 선보였다.
기존 SSD의 경우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특정 크기로 변환해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Key Value SSD’ 기술을 적용하면 별도의 전환 과정 없이 다양한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저장할 수 있어 시스템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높일 수 있고 SSD의 수명도 향상 시킬 수 있다.
진교영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은 “지속적인 V낸드 솔루션 개발을 통해 고객 가치를 극대화 하고 향후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미래 첨단 반도체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