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사교육비 실태조사.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유아 사교육비 실태조사.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정부가 만 3~5세 유아 사교육비 실태조사에 나선다. 유아 대상 사교육비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27일 학부모 부담이 커지고 있는 유아 사교육비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수립 및 연구기초로 활용하기 위해 유아 사교육비 시험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험조사 대상은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을 적용받는 유치원·어린이집 만 3~5세 유아 및 가정양육자 중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 약 2100명이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이들 학부모들이 지난 3개월(6~8월)간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밖에서 자녀에게 보충교육을 시키기 위해 지출한 사교육비 등에 대해 이달 28일부터 9월15일까지 조사할 예정이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이번 시험조사를 통해 조사 설계 및 문항의 타당성과 적합성 등을 검토해 2018년 유아 사교육비 본조사 추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치원 뿐 아니라 어린이집, 가정양육 유아들에 대한 사교육 실태가 조사된다면 유아교육 내실화와 더불어 실효성 있는 사교육 경감 대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전체 인구의 과반이 거주하는 서울·경기에서 유아 사교육 열풍이 거센데 이들 지역을 제외한 시범조사 결과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도 있다.

특히 서울 강남·목동, 경기 성남시 분당구 등은 교육 과열지구로도 손꼽히는 지역이어서 이들 지역을 제외한 조사가 정부의 사교육비 경감 대책 등 교육정책 추진의 기초자료로 제대로 활용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통계청 측은 “적은 예산으로 모든 지역을 조사할 수 없다”며 “대전은 광역시로 대도시를 대표할 수 있고 전라북도는 읍면지역이 많아 농촌 내지는 읍면지역을 대표할 수 있어 두지역을 시험조사 지역으로 선정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