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신설선 개통, 현대로템 3년간 기술지원 예정
박찬규 기자
2,853
공유하기
![]() |
현대로템이 제작한 우이신설 경전철. /사진=현대로템 제공 |
현대로템이 지난 2일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에 위치한 우이신설선 차량기지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한 관계자 및 시민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이신설 도시철도 개통식’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날부터 영업운행을 시작한 우이신설선은 서울시 강북구 북한산우이역과 동대문구 신설동역을 연결하는 총연장 11.4km의 노선으로 13개 역사와 기지 1곳으로 구성됐다. 버스 외 마땅한 대중교통 수단이 없었던 서울 동북부지역과 북한산 국립공원의 접근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무인운전으로 운행되는 우이신설 경전철은 총 36량(2량 18편성)으로 구성되며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생산됐다. 현대로템은 지난해 3월부터 시운전을 실시했으며 품질보증담당 직원들이 앞으로 3년간 기지에 24시간 상주하면서 철저한 품질관리에 나선다.
![]() |
지난 2일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에 위치한 우이신설선 차량기지에서 개최된 ‘우이신설 도시철도 개통식’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앞줄 오른쪽 세 번째)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로템 제공 |
안전에도 신경 썼다. CCTV와 화재감지기를 량당 2개씩 설치했고 불연재인 알루미늄 소재로 차체와 내장판을 제작했다. 객실 내 의자, 바닥재도 불에 타기 어려운 난연재를 적용했다. 출입문 근처에 비상 시 승객이 직접 차를 멈출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과 관제소 연락용 비상통화장치도 설치했다. 이와 함께 열차 앞·뒤에 비상 탈출문도 별도로 확보해 유사 시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열차 운행속도와 객실 내 온도 및 혼잡도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LCD 모니터가 량당 6개씩 설치됐으며 기존 전동차 대비 출입문은 20cm, 연결통로는 30cm 가량 넓혀 이동이 쉬워졌다. 또 슬라이딩 도어 대신 고속열차에 사용되는 플러그인 방식 도어를 적용해 소음 방지 효과를 극대화 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우이신설 경전철이 서울 동북권의 교통 편의성 개선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찬규 기자
자본시장과 기업을 취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