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기 올릭스 대표(왼쪽)와 강재훈 일동제약 중앙연구소장이 11일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일동제약
이동기 올릭스 대표(왼쪽)와 강재훈 일동제약 중앙연구소장이 11일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일동제약
일동제약 중앙연구소와 RNA 간섭 기술 기반 신약개발사인 올릭스가 11일 신약공동개발과 관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RNA 간섭(RNA interference, 이하 RNAi)은 세포 내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RNA가 특정 유전자의 발현 등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뜻한다. 올릭스에 따르면 이를 활용해 신체 현상을 조절하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올릭스가 보유한 RNAi 기술은 세포 내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DNA 유전정보를 단백질로 옮기는 역할을 하는 mRNA(messenger RNA)에 초점을 맞춘 차세대 기술로 약물을 보다 빠르고 쉽게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올릭스는 RNAi 기술과 관련한 원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을 활용한 비대흉터치료제, 황반변성치료제, 폐섬유화증치료제 등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자체 기술을 바탕으로 한 RNAi 약물로는 아시아 최초로 임상 단계에 진입한 상태다.


일동제약 측은 올릭스의 RNAi 원천 기술과 최근의 연구개발 성과 등에 비춰 양사가 신약개발분야에서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해 제휴를 맺게 됐다고 설명했다.

강재훈 일동제약 중앙연구소장(전무)은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창의적인 성과물을 기대한다”며 “공동연구 및 인프라 교류 등을 통해 혁신 신약개발에 한걸음 더 다가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