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도적 지원. 사진은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 /사진=뉴스1
북한 인도적 지원. 사진은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 /사진=뉴스1

통일부는 1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도 불구하고 전날 밝힌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방침이 유효하다고 확인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영유아, 임산부 등 취약 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지속한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며 이 같이 언급했다.


이 부대변인은 "다음주 21일로 예정된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유니세프(UNICEF)와 유엔세계식량계획(WFP) 등 유엔 산하 국제기구의 요청에 따른 대북지원 사업에 대해서 논의가 될 예정"이라며 "교추협에서 지원 방침이 결정되면 구체적인 시기 등은 여러 상황을 보면서 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판단한 근거에 대해 "역대 가장 강력한 제재 결의안이 채택됐다. 해외 노동자 송출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원유의 30% 이상이 차단될 것이기 때문에 이런 강력한 제재에 따른 북한 경제의 타격을 피해 나갈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도 경제가 가장 어려웠을 당시 가장 먼저 타격입은 계층은 취약 계층이었다"며 "취약 계층에 대한 시리얼이라든가 백신이 들어가는 문제이기 때문에 유엔 정신에 반하지 않는 결정이라고 생각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국제기금 기금 공여 현황에 대해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중 미국, 러시아, 프랑스에서도 올해 그동안과 마찬가지로 유엔 산하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에 인도적 지원을 지속해 왔다"고 전달했다.


이어 향후 정부의 인도적 지원 물품이 북한 취약 계층에 제대로 전달됐는지 확인할 것이냐는 질문에 "만약 다음 주 공여가 결정되면 유엔 기구에서 모니터링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북한에 상주 기구가 있기 때문에 철저한 모니터링이 집행될 것이다. 평양사무소가 운영되고 있어 유엔 국제기구에서 지원하고 있는 시설을 무작위로 방문해 지원 물품이나 재고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