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 '생계형 적합업종 법제화' 동의… "공정경쟁 필요"
김나현 기자
1,766
공유하기
![]() |
국민 10명 중 9명.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제공 |
중소기업중앙회는 일반 국민 11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적합업종 제도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중소상공인의 생존기반 보호와 대·중소기업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해 적합업종 제도가 필요하다'는 중소기업계의 의견에 대해 91.6%(매우 동의 31.9%·동의 59.7%)가 동의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18일 발표했다.
또한 5명 중 4명(81.0%)이 대기업이 두부, 순대, 떡, 빵 등 영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사업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해 시장을 잠식하는 현상에 대해 '잘못'이라고 응답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적합업종 제도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이유로는 '중소상공인은 자본과 인력이 열악해 공정한 경쟁이 안 됨'(65.3%), '대기업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바람직'(46.5%), '독과점이 발생해 제품 가격을 올리고 소비자의 선택권이 침해'(41.8%) 등을 지목했다.
생계형 적합업종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적합업종 제도 필요성과 유사하게 91.9%(매우 필요 26.2%·필요 65.7%)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계형 적합업종을 지정할 경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대기업의 독과점화 우려'(30.9%)와 '시장 공정성'(28.7%)을 지적했다.
생계형 적합업종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적합업종 제도 필요성과 유사하게 91.9%(매우 필요 26.2%·필요 65.7%)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계형 적합업종을 지정할 경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대기업의 독과점화 우려'(30.9%)와 '시장 공정성'(28.7%)을 지적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생계형 적합업종 특별법은 부모세대의 은퇴와 자녀세대의 취업난으로 나날이 늘어가는 생계형 소상공인의 생존과 생계를 보장하고 경쟁력을 강화시켜 건실한 중산층으로 육성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법"이라며 "국민 대다수가 법 제정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만큼 조속한 법안 통과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월 영세 소상공인의 생존과 생계유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에 관한 특별법을 대표 발의했다. 법안은 현재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