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클래식 2017, 음악계 호평 속 성황리 마무리
허주열 기자
1,755
공유하기
한화그룹의 클래식 공연브랜드 ‘한화클래식 2017’ 윌리엄 크리스티와 레자르 플로리상의 내한공연이 지난 23일과 24일 각각 서울 예술의전당과 대전예술의전당에서 열렸다. 어느 해보다 판매율이 높았던 이번 공연은 객석 점유율 90% 이상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매년 성공적인 공연을 개최하면서 한화클래식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던 시기 프랑스 바로크 음악 부흥을 주도했던 거장 윌리엄 크리스티와 레자르 플로리상의 초청 소식은 음악계의 큰 호응을 끌어내기에 충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공연의 프로그램은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 장 필립 라모의 두편의 오페라 ‘다프니스와 에글레’, ‘오시리스의 탄생’을 엮은 <춤의 대가>였다. 17세기에 악보만 갖고 있던 이 오페라는 2014년 글라인드본 페스티벌에서 윌리엄 크리스티와 레자르 플로리상에 의해 세계 초연한 이후 한화클래식을 통해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이번 한화클래식 프로그램은 기존에 선보여 온 음악회가 아닌 ‘극’ 무대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점이 많다”며 “특히 2014년 세계 초연 이후 무대에 올리지 못했던 시대 오페라를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치렀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줄거리는 단순하지만 극 중심으로 이뤄지는 이 작품들은 최고의 음악뿐만이 아니라 바로크 궁중 무용‘을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특별함을 더했다. 전원경 음악 칼럼니스트는 “그간 우리가 접해왔던 러시아, 독일, 오스트리아 계열의 무용이 아닌 발레가 탄생했던 초창기의 모습을 볼 수 있었고 궁중무용의 원형을 볼 수 있는 무대였다는 점에서 매우 특별했다”고 말했다.
매년 성공적인 공연을 개최하면서 한화클래식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던 시기 프랑스 바로크 음악 부흥을 주도했던 거장 윌리엄 크리스티와 레자르 플로리상의 초청 소식은 음악계의 큰 호응을 끌어내기에 충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 |
2017 한화클래식 내한공연. /사진=한화 |
이번 공연의 프로그램은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 장 필립 라모의 두편의 오페라 ‘다프니스와 에글레’, ‘오시리스의 탄생’을 엮은 <춤의 대가>였다. 17세기에 악보만 갖고 있던 이 오페라는 2014년 글라인드본 페스티벌에서 윌리엄 크리스티와 레자르 플로리상에 의해 세계 초연한 이후 한화클래식을 통해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이번 한화클래식 프로그램은 기존에 선보여 온 음악회가 아닌 ‘극’ 무대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점이 많다”며 “특히 2014년 세계 초연 이후 무대에 올리지 못했던 시대 오페라를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치렀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줄거리는 단순하지만 극 중심으로 이뤄지는 이 작품들은 최고의 음악뿐만이 아니라 바로크 궁중 무용‘을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특별함을 더했다. 전원경 음악 칼럼니스트는 “그간 우리가 접해왔던 러시아, 독일, 오스트리아 계열의 무용이 아닌 발레가 탄생했던 초창기의 모습을 볼 수 있었고 궁중무용의 원형을 볼 수 있는 무대였다는 점에서 매우 특별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