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서울 종로구 수운회관 천도교 중앙총부를 예방해 이정희 천도교 교령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서울 종로구 수운회관 천도교 중앙총부를 예방해 이정희 천도교 교령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개신교가 (종교인) 과세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시행 시 우려되는 문제들이 해결되기까지 시행을 유예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는 의견을 낸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부총리는 29일 서울 종로구 수운회관 천도교 중앙총부를 예방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천도교나 불교는 종교인 과세에 적극적인 반면 기독교 내에서는 의견이 나뉜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기본적으로 개신교에 계신 분들이 과세 자체를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다"라며 "시행 시 나타날 우려에 대해 정부가 충분히 고려하고 필요한 수정과 보완을 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신교 측이 과세 유예를 요청한 데 대해서는 "극히 일부에서는 문제가 해결되려면 시간이 걸릴 테니 유예를 하면서 준비하는 것도 방법이라는 정도의 의견이지 출발 자체를 반대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달했다.

김 부총리는 이정희 천도교 교령을 만나 나눈 대화 내용에 대한 질문에는 "천도교는 (세금을) 자진 납부하고 있고 종사하는 많은 분이 봉사직으로 계셔서 (적용) 대상이 많지는 않겠지만 종교인 과세에 굉장히 적극적이었다"며 "이렇게 (각 종교계를) 방문해 의견을 듣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얘기다. 겸손한 자세로 얘기를 들으려 하고 있고 우리 실무자들도 계속 접촉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종교인 과세 시 예상되는 추가 세수 효과에 대해서는 "종교계마다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세수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세수 효과가 커서 우리 세수에 큰 변화가 있을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어 최근 종교인 과세 기준 초안을 각 종교 교단에 배포했던 데 대해서는 "일부 종교계에서 그 기준에 많은 경우 해당이 되지 않는데 기준 자체가 종교인들이 소득이 많이 있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줄까 걱정하시더라"며 "그런 것은 전혀 아니었고 과세 기준을 안내해드렸던 것이다. (기준안을) 간단하게 만들어 제도가 시행되더라도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