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5.18 민주화운동 관련 발굴조사가 진행된다. /자료사진=뉴시스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5.18 민주화운동 관련 발굴조사가 진행된다. /자료사진=뉴시스

광주교도소 등 5·18 민주화운동 당시 암매장지로 추정되는 지역에 대한 현장·발굴조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18일 5·18 기념재단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부터 5·18 당시 행방불명자들의 암매장지로 추정되는 옛 광주교도소에 대한 현장조사까지 19일까지 이틀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현장조사에는 5월 단체·기념재단·광주시 관계자,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 등 현장발굴에 도움을 줄 전문가 등 10여명이 참여한다. 또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현장조사에 동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장답사는 교도소 내부, 인근 야산 등 암매장지 제보 장소를 실제로 찾아 지형변화 여부, 시설물 위치 등을 확인한다. 또 발굴조사를 위해 필요한 사전 작업을 미리 확인하는 과정도 거친다. 전문가들은 발굴 진행 방법, 필요 장비 등을 점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념재단은 현장조사를 19일까지 진행하고 향후 세부계획 등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재단은 옛 광주교도소 발굴을 마치면 전남 화순 너릿재와 광주 2수원지 일원에서도 추가 발굴을 추진할 계획이다.


옛 광주교도소는 5·18 행방불명자 시신이 암매장 됐을 것으로 유력하게 지목되는 장소다. 전교사 작전일지와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보고서, 각 부대 작성자료 등을 보면 5·18 당시 광주에 주둔한 부대가 암매장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옛 광주교도소는 3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들이 주둔한 곳으로 5월21일 저녁까지 죽은 사람을 묻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5·18 당시 군은 광주 교도소에서 27명(보안대 자료에는 28명)의 시민들이 사망했다고 발표했으나 실제로 수습된 시신은 11구 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16~17구의 시신 행방은 확인이 안돼 암매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