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올해 경제성장률 3.2%… “경기순환적 회복세 지속”
허주열 기자
2,675
공유하기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14일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3.2%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달 전망치보다 0.2%포인트로 상향된 수치다.
다만 내년 전망은 3.0%로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최저임금의 큰 폭 상승 및 고용·사회복지 지출 지원 정책으로 민간소비가 증가하겠지만 저출산·고령화와 양극화 심화라는 구조적 문제가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IMF 연례회의 미션단은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전망이 담긴 ‘2017년 IMF-한국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했다.
![]() |
지난 14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타르한 페이지오글루 IMF 미션단 단장이 ‘2017년 IMF-한국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IMF는 발표문에서 “한국의 단기 전망은 지정학적 긴장 고조에도 불구하고 개선되고 있다”며 “경기순환적 회복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7 GDP 성장률은 3분기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3.2%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IMF는 지난 4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7%로 전망했다가 지난달 3.0%로 상향했다. 여기에 3분기 깜짝 성장분을 반영해 한달만에 성장률 전망치는 다시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IMF는 한국의 내년 GDP 성장률은 최저임금의 큰 폭 상승 및 고용과 사회복지 지출을 지원하는 정책들에 힘입은 민간소비 증가라는 호재가 있지만 구조적 리스크를 감안해 기존과 같은 3.0%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타르한 페이지오글루 IMF 미션단 단장은 “리스크 밸런스를 감안해 (내년 성장률 전망치가) 조금 더 상향될 수도있다”고 말했다.
또한 IMF는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를 중요한 금융안정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하면서도 정부의 대응이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발표문은 “가계부채는 중요한 금융안정 리스크 요인”이라며 “그럼에도 거시건전성 정책들이 현재까지는 금융안정 관련 도전 과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