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대둔사 대웅전. /사진=문화재청 제공
구미 대둔사 대웅전. /사진=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28일 경북 구미시 소재 '구미 대둔사 대웅전'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45호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구미 대둔사는 복우산 동쪽 중턱에 남북으로 대지를 조성해 자리한 사찰이다. 신라 눌지왕 30년(446년)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창건 후 고려 고종 18년(1231년) 몽골족의 침략으로 불타버린 것을 충렬왕의 아들 왕소군이 출가해 다시 세웠으며, 선조 39년(1606년) 사명대사 유정이 중건해 승군을 주둔하게 했다.


현재 사역은 원래 대둔사의 암자 청련암의 자리이며, 현재 자리에서 서남쪽 약 300m 지점에 대둔사 옛터가 남아 있다. 사역에는 대웅전을 바라보며 왼쪽으로는 요사채(스님들이 머물며 생활하는 건물), 오른쪽으로는 명부전과 응진전이 남아 있다.

대웅전은 1987년 수리 공사에서 상량문이 발견됐으며, 이에 따르면 광해군 6년(1614년)부터 순조 4년(1804년)까지 5차례 수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지붕에 '건륭31년 병술(1766)'이라고 기록한 망와(장식 기와)가 다수 남아 있어 건물의 역사를 입증한다.

지붕의 네 모서리에는 팔각형 활주(추녀 밑을 받치는 보조 기둥)를 뒀으며, 창호는 정면 가운데 꽃살 여닫이문과 배면 우측의 영쌍창(창호 가운데 기둥이 있는 창)이 고전적인 건축양식의 모습을 보여준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강직하면서도 장식성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7~18세기 건물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우물천장 등의 구조와 내부 닫집의 섬세한 조각 형태 그리고 건립 당시로 추정되는 단청 문양도 잘 남아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구미 대둔사 대웅전은 형태·구조·장식 측면에서 볼 때,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역사·건축·예술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