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뱀 독으로 진통제 만든다… 해수부 내년 연구 착수
김나현 기자
2,180
공유하기
![]() |
바다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앞바다에서 61년 만에 서식 사실이 확인된 진정바다뱀아과에 속하는 바다뱀. /사진=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
해양수산부는 올해 6월, 9월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앞바다에서 61년 만에 서식 사실이 확인된 진정바다뱀아과에 속하는 바다뱀의 신경독 성분을 활용한 의약품 소재 개발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29일 발표했다.
최근 생명 공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독성을 지닌 해양 생물을 활용한 의약품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양 생물이 가진 독이 체내 특정 부위에 작용될 수 있도록 독성을 조절해 진통 효과, 항염증 효과 등을 지니는 유용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복어의 간과 난소(알)에 주로 들어 있는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을 활용한 진통제 및 근이완제 개발을 연구하거나 청자고둥의 치설(입 속에 있는 줄기모양 기관)에 있는 코노톡신(conotoxin)을 활용해 암 환자 등을 위한 진통제를 개발하는 것 등이 있다.
올해 발견된 바다뱀은 성산항 40㎞ 해상에서 포획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생태보전연구실 김민섭 박사 연구팀에 인계됐다. 이 바다뱀은 1956년 부산 동구 초량동 근해에서 관찰된 이후 61년 만에 국내 서식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납작한 머리에 등은 검고 배면이 노란 특징을 지녔고, 연안에서 자주 관찰되는 어류 바다뱀과는 달리 맹독을 지니고 있다. 아가미 없이 폐로 호흡해 주기적으로 수면 위로 헤엄쳐 올라온다.
올해 발견된 바다뱀은 성산항 40㎞ 해상에서 포획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생태보전연구실 김민섭 박사 연구팀에 인계됐다. 이 바다뱀은 1956년 부산 동구 초량동 근해에서 관찰된 이후 61년 만에 국내 서식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납작한 머리에 등은 검고 배면이 노란 특징을 지녔고, 연안에서 자주 관찰되는 어류 바다뱀과는 달리 맹독을 지니고 있다. 아가미 없이 폐로 호흡해 주기적으로 수면 위로 헤엄쳐 올라온다.
그동안 육상에 서식하는 뱀의 독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은 있었지만 바다뱀의 독을 활용한 연구 사례는 아직 전 세계적으로도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해수부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이번에 발견된 바다뱀을 포함한 바다뱀 2종의 신경독 성분을 활용해 다음해부터 진통제 등 의약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본격 착수할 방침이다.
윤두한 해수부 해양수산생명과장은 "우리 바다에 살고 있는 해양 수산 생명 자원을 소재로 의료 등 다양한 부문에 활용될 수 있는 유용 물질 및 원천 기술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