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연말정산 예상 환급 금액은?
강인귀 기자
6,069
공유하기
직장인 5명 중 1명은 올해 연말정산을 전혀 준비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남녀 직장인 4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올해 연말정산 준비 하셨나요?’라는 질문에 직장인 63.2%가 ‘준비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특히 이들 중 19.3%는 올해 연말정산을 ‘전혀 준비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반면 연말정산을 준비했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현금영수증/체크카드 사용 생활화(82.2%)’,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금융상품에 가입(26.6%)’,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등 관련 서비스 이용(17.2%)’ 등의 방법으로 환급을 준비하고 있었다(*복수응답).
체감하는 연말 정산 난이도 역시 ‘쉽다(28.0%)’는 답변에 비해 어렵다(72.0%)’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들에게 연말정산을 준비하며 어려움을 느낀 이유를 묻자(*복수응답), ‘환급 혜택 등 매년 조금씩 바뀌는 사항들이 있어서’라는 답변이 54.4%의 응답률로 1위에 올랐다.
이어 ‘챙겨야 할 서류가 너무 많아서(40.8%)’, ‘회계 관련 단어 등 익숙하지 않은 전문용어가 많아서(37.5%)’, ‘업무로 바쁜 연말, 연초에 진행돼서(21.8%)’ 등도 연말정산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로 꼽혔다.
연말정산 환급액에 대한 직장인들의 기대감은 낮았다. 잡코리아가 ‘올해 받게 될 소득공제 금액, 작년과 비교해 어떨까요?’라고 묻자, ‘작년보다 많이 받을 것’이라는 답변이 13.9%로 가장 저조했던 것.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답변이 65.0%로 1위에 올랐고 ‘작년보다 적게 받을 것’이라는 답변은 21.1%였다.
특히 ‘작년보다 적게 받을 것’이라는 답변은 남자 직장인(16.0%)보다 여자 직장인(24.5%)에게서 많았고 20대(17.1%), 30대(19.4%) 직장인들에 비해 40대 이상(34.6%) 직장인들이 압도적으로 높아 눈길을 끌었다.
실제로 직장인들이 예상한 올해 환급금액은 평균 21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초 진행된 동일 설문조사 결과에서 확인된 2016년 예상 환급금액 ‘평균 24만 1000원’보다 소폭 낮아진 수치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의 ‘2016년 연말정산 결과’는 어떨까? 잡코리아 조사 결과 직장인 62.6%가 2016년 연말정산소득공제 환급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고, 22.0%는 연말정산 자체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15.4%의 직장인들은 연말정산을 준비했지만 오히려 세금을 낸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작년 연말정산 시 환급을 받았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평균 25만8000원을 환급 받았다. 반면 세금을 더 낸 직장인들의 경우 평균 26만6000원을 납부한 것으로 조사됐다.
![]() |
/사진=잡코리아 |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남녀 직장인 4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올해 연말정산 준비 하셨나요?’라는 질문에 직장인 63.2%가 ‘준비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특히 이들 중 19.3%는 올해 연말정산을 ‘전혀 준비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반면 연말정산을 준비했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현금영수증/체크카드 사용 생활화(82.2%)’,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금융상품에 가입(26.6%)’,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등 관련 서비스 이용(17.2%)’ 등의 방법으로 환급을 준비하고 있었다(*복수응답).
체감하는 연말 정산 난이도 역시 ‘쉽다(28.0%)’는 답변에 비해 어렵다(72.0%)’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들에게 연말정산을 준비하며 어려움을 느낀 이유를 묻자(*복수응답), ‘환급 혜택 등 매년 조금씩 바뀌는 사항들이 있어서’라는 답변이 54.4%의 응답률로 1위에 올랐다.
이어 ‘챙겨야 할 서류가 너무 많아서(40.8%)’, ‘회계 관련 단어 등 익숙하지 않은 전문용어가 많아서(37.5%)’, ‘업무로 바쁜 연말, 연초에 진행돼서(21.8%)’ 등도 연말정산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로 꼽혔다.
연말정산 환급액에 대한 직장인들의 기대감은 낮았다. 잡코리아가 ‘올해 받게 될 소득공제 금액, 작년과 비교해 어떨까요?’라고 묻자, ‘작년보다 많이 받을 것’이라는 답변이 13.9%로 가장 저조했던 것.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답변이 65.0%로 1위에 올랐고 ‘작년보다 적게 받을 것’이라는 답변은 21.1%였다.
특히 ‘작년보다 적게 받을 것’이라는 답변은 남자 직장인(16.0%)보다 여자 직장인(24.5%)에게서 많았고 20대(17.1%), 30대(19.4%) 직장인들에 비해 40대 이상(34.6%) 직장인들이 압도적으로 높아 눈길을 끌었다.
실제로 직장인들이 예상한 올해 환급금액은 평균 21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초 진행된 동일 설문조사 결과에서 확인된 2016년 예상 환급금액 ‘평균 24만 1000원’보다 소폭 낮아진 수치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의 ‘2016년 연말정산 결과’는 어떨까? 잡코리아 조사 결과 직장인 62.6%가 2016년 연말정산소득공제 환급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고, 22.0%는 연말정산 자체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15.4%의 직장인들은 연말정산을 준비했지만 오히려 세금을 낸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작년 연말정산 시 환급을 받았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평균 25만8000원을 환급 받았다. 반면 세금을 더 낸 직장인들의 경우 평균 26만6000원을 납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