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시중은행이 신입사원 연수의 일환으로 여직원들에게 피임약을 권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이와 관련해 인크루트가 조사한 결과, 기업 연수원에서 군대식 점호에 반말과 욕설, 무리한 극기훈련 등으로 상처를 입는 신입사원이 상당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수원 갑질, 신입 사원 일부는 입사 포기도 고려
이번 설문조사는 인크루트 자사 회원을 대상으로 이메일로 진행됐으며 총 참여인원은 432명이었다. 이 중 기업 연수원 입소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261명(60%)이었다.

이에 따르면 중견기업체 이상의 기업에 취직한 신입사원 중 기업 연수원 교육을 받고 온 후 입사를 포기하고 싶어졌거나 실제로 포기했는지 여부를 물어보자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34%였다.


이유는 ‘나랑은 맞지 않을 것 같은 기업 문화를 확인했기 때문(26%)’이라고 가장 많이 답했다. 그 다음으로 ‘연수 기간 내내 적응하기 힘들었기 때문(10%)’, ‘원래 입사할 생각보다 기업에 대해 탐색만 해볼 생각으로 입소했기 때문(8%)’ 순으로 답했다.

그리고 신입사원이 가장 많이 힘들어하는 부분은 ‘매 시간, 분별로 꽉 채워진 빈틈없는 일정(18%)’이었다. 그 다음 ‘집체교육 등을 통한 지나친 단체 생활 강조(12%)’, ‘이른 기상시간(10%)’, ‘교육뿐 아니라 극기훈련, 야외활동, 레크리에이션 등에 참여 강제(9%)’ 등이 있었다.


또한 이들 중 30%는 연수원에서 ‘갑질’도 경험했다고 답했는데 이를 유형으로 분류해 본 결과 ▲교육 ▲기업문화 ▲음주 ▲관계적 측면 ▲기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교육 갑질 유형에는 ‘긴 교육시간, 지나친 교육(암기) 강요, 금융상품 가입권유, 기업에 대한 맹목적 세뇌교육’ 등이 있었다. 또 기업문화 갑질에는 ‘조직문화 강요, 지원한 업무와 달라진 직무, 회장님 일정에 맞춘 프로그램’ 등이었다.


또 관계적 측면 갑질에는 ‘파벌형성, 문란한 성문화, 상사 폭언 및 이간질’ 등이었으며 기타 갑질은 ‘취침전 점호 및 벌칙, 군대 같은 분위기, 반말과 욕설’ 등으로 조사됐다.

한편 서미영 인크루트 대표는 “취업을 위해 달려온 구직자들이 입사의 기쁨을 누리기도 전에 연수원에서 한 차례 힘든 경험을 추가해서는 안될 일”이라며 “연수원에서의 교육과 조직문화 개선에 기업차원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