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한국무역협회
/제공=한국무역협회

국내 무역업체가 남북관계 개선이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가 17일 발표한 '남북교역에 대한 무역업계의 인식 조사'에 따르면 국내 무역업체 중 93.9%(매우 긍정적 46.9%, 긍정적 39.8%)는 남북관계 개선이 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답했다.


남북관계 개선이 비즈니스(사업)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85.1%에 달했다.

무역업계는 '남북교역, 경제특구 진출 등 비즈니스 기회 창출'(39.2%)을 가장 많이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남북 교통망 연결을 통한 동북아 물류 활용 가능성'(23.2%), '한반도 긴장이 완화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15.5%) 등도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기대 효과로 꼽았다.


남북교역 재개 시점에 대해서는 '4~5년 이내'로 예상하는 응답자가 31.7%로 가장 많이 집계됐다.

교역재개 시 유망 분야로는 '인프라·건설·자원산업'(35.1%), '전기·전자·통신·기계'(17.3%), '관광'(15.3%), '섬유·의류·생활용품'(13.5%)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북 비즈니스 우려사항으로 '북한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정보 및 교육 부족'(22.0%), '북한당국의 통제 및 간섭 피해'(18.6%),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13.7%), '미국·UN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가능성'(11.6%)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민간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남북교역 여건 조성'(34.6%)이 가장 필요하다고 보았다. 남북 경제협력과 관련된 자유기술형 설문에서는 '지속성'과 '안정성'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한편 무역협회는 '남북교역지원센터'(센터장 이정수)를 신설하고 남북 경협 지원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이와 관련 오는 18일 오후 2시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신 남북 경협정책과 무역업계 대응 포럼'을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