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상업용부동산 76.5%는 ‘근저당 설정’
김창성 기자
2,057
공유하기
![]() |
서울 강남의 한 오피스 밀집 지역. /사진=김창성 기자 |
7일 상업용부동산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부동산도서관에 따르면 2006년부터 올 1분기까지 12년 3개월 동안 거래된 상업용부동산 중 1만208건을 무작위 추출해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조사 결과 매입자금 확보 및 금융 차입 효과를 위해 근저당이 설정된 건물은 76.5%인 7809건, 근저당이 없는 물건은 22%인 2255건, 확인불가 1.4%(144건)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연도별 총 거래금액에서 근저당 설정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초소형부동산으로 53%에 달했고 소형 51%, 중형 46%, 대형 33%, 프라임 13%의 순으로 조사돼 규모가 작을 수록 근저당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근저당 설정 비율은 부동산 규제가 최고조에 달한 데다 조사기간 내 한국은행 기준금리도 5%로 가장 높았던 2007년이 26%로 가장 낮았고 부동산활성화 정책이 많았던 2014년이 57%로 가장 높았다.
조사기간 동안 표본은 1만208건의 실거래 건수로서 50억원 미만의 초소형 건물의 비율이 7564건(74%)으로 가장 높았고 총 거래금액은 1000억원 이상 프라임이 24조45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김헌수 NAI프라퍼트리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서울시 상업용부동산의 근저당 비율이 반드시 은행부채인 것은 아니나 채무성격에 가깝다고는 평가할 수는 있다”며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어 주택담보대출에 이어 상업용부동산 대출도 금리인상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