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이 바꾼 여름휴가 여행… "강원 뜨고 제주 빠졌다"
박정웅 기자
2,837
공유하기
![]() |
여름휴가 여행 경험률. /인포그래픽=세종대 관광산업연구소, 컨슈머인사이트. |
지난여름(6~8월), 우리 국민의 4명중 3명은 1박 이상의 여름휴가 여행을 다녀온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지로 국민은 원거리의 자연보다는 근거리의 위락시설을 선호했다. 볼거리 보다는 쉴거리와 먹거리를 찾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근거리 위락시설 선호와 기록적인 폭염, 해외여행 증가로 여행지별 희비가 엇갈렸다. 리조트와 호텔 등 위락시설이 많은 강원권과 수도권은 여행객이 증가한 반면 제주도는 감소했다.
세종대 관광산업연구소와 컨슈머인사이트가 17일 밝힌 여름휴가 여행조사(2만7241명)에 따르면 지난여름 1박 이상의 국내여행 경험은 66%로 작년보다 2%포인트 줄었다. 국내여행이 3년 연속 하락세인 반면 해외여행은 3%포인트 는 27%를 기록했다. 국내와 해외여행 모두 다녀왔다는 응답도 1%포인트 증가한 16%를 차지했다.
![]() |
국내 여름휴가 여행지 분포. /인포그래픽=세종대 관광산업연구소, 컨슈머인사이트 |
지난여름 가장 인기를 끈 국내 여행지는 강원도(24.8%)로, 2위인 제주도(11.0%)와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점유율 증가율도 1.7%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0.7%포인트), 경기도(0.3%포인트) 순의 증가율을 나타내 수도권 거주자들이 근거리 여행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또 서울·대구·대전·광주 등 내륙지역 대도시는 증가한 반면 제주·전남·부산·경남·충남 등 바다와 해변을 낀 지역은 모두 감소했다. 이는 내륙 대도시 거주자들이 원거리의 바다보다는 가까운 도시에서 여름휴가를 택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여행장소 중 ‘바다/해변’은 36.9%로 여전히 가장 높았으나 작년에 비해 1.2%포인트 감소했다. 다음은 ‘리조트 호텔 등 위락시설’이 17.3%로 2.0%포인트 상승하며 처음으로 ‘산/계곡’(16.2%)을 밀어내고 2위를 기록했다. 여기에는 기록적인 폭염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조사기관 측은 “여름휴가 기간은 여전히 국내여행 최대 성수기로, 특히 대체공휴일제 도입과 휴가사용촉진 정책으로 여름에 집중되었던 여행수요가 분산되고 있다”면서 “여름휴가 내용이 달라지고 있는데 지난여름은 폭염도 큰 변수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정웅 기자
안녕하세요, 박정웅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