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서울 분양시장이 심상치 않다. 올 1분기 아파트 분양시장이 마무리된 가운데 서울에서 분양한 단지의 청약경쟁률은 평균 8.6대1로 지난해 4분기(37.5대1)보다 크게 쪼그라들었다. 1분기 전국 평균 청약경쟁률도 13.8대1로 직전 분기 16대1보다 낮아졌다.

15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올 1분기 아파트 분양시장을 분석한 결과 전국 청약경쟁률은 광역시를 제외하고 직전 분기 대비 떨어졌다.


수도권(경기, 인천)은 평균 7.1대1의 경쟁률로 직전 분기(11.7대1)보다 하락했고 지방도 8.8대1로 직전 분기(9.6대1)보다 경쟁률이 낮아졌다.

이는 거래 비수기, 9·13 부동산대책 후속 대책인 실수요중심의 청약제도 변경 등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광역시는 38.2대1의 경쟁률로 직전 분기(25.3대1)보다 경쟁률이 높아졌다. 주요 주상복합 단지가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지역 내에서도 관심단지는 높은 경쟁률 보인 반면 그렇지 않은 곳은 미달됐다.

지역별로는 대전 청약경쟁률이 평균 74.5대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올 1분기 가장 좋은 청약성적을 보였다. 이어 ▲광주 48.6대1 ▲대구 26대1 ▲충남 25.5대1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제주, 부산, 경남, 전남, 충북은 청약경쟁률이 저조했다.


올 1분기 분양단지 중 청약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단지는 초고층 주상복합 단지인 대구 달서구 빌리브스카이로 135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수도권에서는 하남 힐스테이트북위례가 77.3대1, 서울 은평 백련산파크자이는 잔여세대 43가구 분양에 1,578명이 접수해 36.7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주상복합인 동대문 청량리역 해링턴플레이스는 31.1대1을 기록했다.


올 1분기 서울 1순위 해당지역 최저 청약가점(1순위 마감기준)은 44점으로 청약경쟁률과 마찬가지로 2018년 4분기(57점)보다 낮아졌다. 수도권(38점), 지방(46점)도 직전 분기(각각 45점, 52점) 대비 청약 커트라인이 내려갔다.

반면 지방 광역시는 54점으로 직전 분기(47점) 대비 올라갔다. 대전, 대구 등지의 청약경쟁률이 높았던 만큼 가점도 올라간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 분양한 민영주택의 일반분양분은 총 2만2630호로 직전 분기(2만4577호)보다 줄었다. 수도권과 광역시에서 물량이 감소한 반면 서울은 1분기에 총 2148호가 분양해 직전 분기 1328호보다 소폭 증가했다.

전국 분양단지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441만원으로 직전 분기(1505만원)보다 낮아졌다. 서울은 평균 2795만원으로 2018년 4분기(3550만원)보다 크게 떨어졌다. 상대적으로 비싼 강남, 마포·여의도 권역에서 분양된 단지가 없어 평균 분양가 수준이 낮아진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