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53% 준공 30년 이상 돼… 아파트 노후화는 10%
김노향 기자
2,239
공유하기
전국 단독주택의 약 53%가 지은 지 30년이 넘은 노후주택으로 조사됐다.
3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전국 주거시설(아파트·단독주택·연립주택·다세대주택 등)의 노후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준공 30년 이상의 노후주택은 355만여가구(21.7%)로 집계됐다.
그러나 단독주택은 절반 이상인 209만3925가구(53.0%)가 준공 30년이 지났다. 40년 이상 된 단독주택도 전체의 141만8000여가구(35.8%)에 달했다.
다세대주택은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이 17만6900가구(8.6%)였다. 아파트는 전체의 102만3333가구(9.9%)만 지은 지 30년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국내 노후주택 대부분은 1970~1980년대에 지은 주택이라 주거의 질 향상을 위해 노후주택 리모델링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농촌·중소도시 인구 감소와 도심 아파트 증가로 빈집은 늘었지만 대부분 방치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빈집은 2015년 107만가구, 2016년 112만가구, 2017년 126만가구로 증가했다.
3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전국 주거시설(아파트·단독주택·연립주택·다세대주택 등)의 노후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준공 30년 이상의 노후주택은 355만여가구(21.7%)로 집계됐다.
그러나 단독주택은 절반 이상인 209만3925가구(53.0%)가 준공 30년이 지났다. 40년 이상 된 단독주택도 전체의 141만8000여가구(35.8%)에 달했다.
다세대주택은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이 17만6900가구(8.6%)였다. 아파트는 전체의 102만3333가구(9.9%)만 지은 지 30년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 |
/사진=머니투데이 엄성원 기자 |
한편 농촌·중소도시 인구 감소와 도심 아파트 증가로 빈집은 늘었지만 대부분 방치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빈집은 2015년 107만가구, 2016년 112만가구, 2017년 126만가구로 증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