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제7회 한·중 자동차 산업 발전 포럼 개최. /사진=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그룹, 제7회 한·중 자동차 산업 발전 포럼 개최. /사진=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그룹이 한국과 중국 자동차산업 발전의 가교 역할을 7년째 이어간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12일 중국 베이징 샹그릴라 호텔에서 중국 국가정보센터(SIC)와 ‘제7회 한·중 자동차산업 발전 포럼’을 공동 주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현대차그룹 중국사업총괄 이광국 사장, 중국 국가정보센터 쉬창밍 부주임,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김준기 실장, 중국 전기차 100인회 장용웨이 비서장,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우웨이 처장, 한국자동차부품연구원 이재관 본부장 등 한·중 자동차산업 관계자 및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포럼 참가자들은 ‘자율주행 시대의 한·중 자동차산업 발전의 길’을 주제로 ▲한국과 중국의 자율주행 기술 발전 현황과 앞으로의 산업화 전망 ▲중국 자율주행시장의 성장성과 산업 간 융합 등에 대해 발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현대차그룹은 ‘보편적 안전’과 ‘선택적 편의’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개발한 전방 충돌방지 보조·고속도로 주행 보조 등 글로벌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소개하며 미국 자동차 공학회(SAE)에서 분류한 레벨2 단계 수준의 현재 상용화 단계를 넘어 완전한 수준의 레벨5 단계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율주행 기술을 자동차업체와 ICT업체의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해 업체 간 상호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스마트 시티 파일럿 프로젝트를 비롯해 고도화한 자율주행차 출시를 목표로 바이두 등 여러 중국업체와 자율주행차 개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한국 정부의 미래 자동차산업 발전 전략을 소개하며 2027년 전국 주요 도로의 완전 자율주행(레벨4) 상용화 등을 목표로 하는 정부의 자율주행차 육성 정책을 소개했다. 중국 정부 연구기관인 국가정보센터는 중국 소비자들이 자율주행 기술을 비롯한 첨단 기술에 대한 수용도가 높다는 분석을 소개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은 중국시장에서 재도약을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며 “앞선 기술과 차별화한 상품 경쟁력으로 중국 소비자들에게 사랑 받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포럼에서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 보쉬, ICT 업체 텐센트, 자율주행 기술 관련 모빌리티 선두주자 디디추싱이 각 회사의 관점에서의 중국 자율주행차시장의 성장성과 관련 산업 간 융합 및 전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발표가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