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의사들이… 경희대 의대 단톡방 성희롱 논란 "XX 싶다"
정소영 기자
4,022
공유하기
![]()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남학생들이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 내에서 같은 동아리 소속 여학생들에 대해 성희롱 발언을 해 논란이 불거졌다. /사진=뉴스1(경희대 제공)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남학생들이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 내에서 같은 동아리 소속 여학생들에 대해 성희롱 발언을 해 논란이 불거졌다. 심지어 이들은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나는 게 두려워 증거인멸까지 시도한 정황도 드러났다.
29일 경희대 등에 따르면 경희대 의대 학생 자치기구인 인권침해사건대응위원회(대응위)는 이번 사건의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최근 사건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 9월 발족한 대응위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문제의 발언을 한 것은 해당 대화방에 소속돼 있던 8명의 학생 중 3명이다.
문제의 학생 A씨·B씨·C씨는 동기나 선배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성희롱 발언이나 모욕적 발언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특정인을 가리켜 '빈약해서 자기 취향이 아니다' '핥고 싶다' '잘 대준다' 등의 말을 하거나, 특정인과 성관계를 나눈 적이 없는데도 마치 관계를 한 것처럼 평가하는 말까지 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응위는 "가해자들은 동아리 내 동기 여학우들에 대한 성희롱과 모욕적 발언을 일삼았고, 동기 여학우와 선배 및 같은 수업 내 유학생 등 점차 대상을 확대해 나갔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들이 대화방에서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문제의 발언을 한 적이 있다며 "일상적인 자리에서 학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성적인 발언이 이뤄진 적이 있다는 데 대해 사건관계자들의 진술이 일치했다"고 언급했다.
이들 3명은 자신들이 나누는 대화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도 성희롱이나 모욕 발언을 지속하고, 주기적으로 증거인멸까지 한 것으로도 조사됐다. 또 나머지 대화방 참여자들에게 문제의 내용을 다 같이 삭제하자고 회유하는 한편, 신고자 D씨에게는 동아리 담당 지도교수에게 찾아가 사건 신고를 무마시키겠다는 말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응위가 지난달 19일 문제의 동아리와 학번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A씨는 혐의 대부분을 부인했고, B씨는 조사에 출석하지 않았다. C씨는 잘못을 인정하고 책임감을 느낀다고 진술했으며, 대화방에 들어가 있었지만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나머지 4명의 학생은 대화 내용 삭제가 주기적으로 이뤄져 이 같은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응위는 지난달 29일 대응위원 3분의2 이상의 찬성으로 가해자들에 대한 징계를 의결했고, 이의제기 기간 마지막날인 지난 10일 징계가 확정됐다.
대응위는 A씨·B씨·C씨에 대해 ▲피해자의 동의하에 실명이 공개되지 않는 사과문 작성 ▲학생자치위원회 성명서를 통해 학사운영위원회 및 교학간담회에 안건 상정 등의 징계를 의결했다. 또 A씨와 B씨에 대해서는 가입된 모든 동아리의 회원 자격을 무기한 정지하기로 했고, C씨에 대해서는 피해자가 졸업할 때까지 이를 정지하기로 의결했다.
D씨는 대응위 외에 학교 성평등상담실에 이를 접수하기도 했지만 절차상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답을 듣고, 대신 대응위에 사건을 신고한 것이라고도 파악됐다. 경희대 관계자는 "대응위 외에 성평등상담실에서도 별도로 조사는 진행하고 있으며, 아직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