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키친타올' 마스크, 정말 효과 있을까
한아름 기자
29,395
공유하기
![]() |
./사진=김창현 머니투데이 기자 |
◆자체제작 마스크, 효력 '없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마스크 수요가 급증한 가운데 한 방송사에서 키친타올과 고무줄로 간이 마스크 만드는 법을 공개하며 화제를 일으켰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방역 효과 없을 것"이라는 데 입을 모았다.
식약처 관계자는 "키친타올 마스크에 습기가 차 종이행주가 젖게 되면 호흡이 불편해지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스크로 코로나19를 막으려면 코와 입 등 호흡기에 딱 맞게 써야 한다. 키친타올 마스크 등 대용품을 착용하면 틈새로 공기가 새기 때문에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보건용마스크 수급이 어렵다면 마스크를 직접 만드는 것보다 면마스크를 사용하는 편이 낫다. 면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깨끗이 세탁해야 한다. 이재갑 한림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면마스크의 한계에 대해 분명히 인지해야 한다”며 “자주 빨지 않으면 오염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
◆보건용마스크, '필터'로 바이러스 예방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예방에 키친타올이나 면마스크보다 보건용마스크를 추천한다. 왜 그럴까.
보건용마스크 속 필터가 공기 중 바이러스를 흡착, 호흡기에 침투하는 것을 막기 때문이다. 보건용마스크는 입자차단 성능이 있어 입자성 유해물질이나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한다. 보건용 마스크는 용도와 차단기능 등에 따라 황사용(KF80)과 방역용(KF94·KF99)으로 나뉜다.
마스크제조업체 관계자는 "보건용마스크는 내피·외피·필터 등 여러겹으로 구성되며 ‘멜트 브라운’ 공법을 이용한 필터가 미세입자를 정전기로 빨아들인다"며 “원재료는 보통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이용하지만 내피를 면으로 만들기도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비말(침) 등으로 감염되는 코로나19를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KF94 마스크의 경우는 감염원의 입자를 최대 0.4㎛크기 까지 방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