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재난지원금, 서울 시민만 스타벅스서 쓸 수 있다?
김경은 기자
8,879
공유하기
![]() |
100% 직영 형태로 운영되는 스타벅스의 경우 본사가 소재지가 서울이기 때문에 서울 시민만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진=뉴스1 |
긴급재난지원금 수급 방식은 보유 중인 신용·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지자체 선물카드 중 선택할 수 있다. 오는 13일부터 지급되며 8월31일까지 사용할 수 있다.
긴급재난지원금은 세대주 거주지 소재 특별시·광역시·도 내의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동네마트(농협 하나로마트 포함) ▲전통시장 ▲편의점 ▲제과점 ▲식당 ▲미용실 ▲주유소 ▲병·의원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 다이소는 지자체 재난지원금은 사용 못하는 경우가 있지만 정부 재난지원금은 사용할 수 있다.
단 직영 형태로 운영되는 프랜차이즈의 경우 본사 소재지에서만 긴급재난지원금을 쓸 수 있다. 서울시민은 서울에서만, 경기도민은 경기도에서만 쓸 수 있도록 지역 제한을 뒀기 때문이다.
예컨대 서울의 본사를 둔 스타벅스의 경우 서울시민은 긴급재난금을 스타벅스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지역민은 불가하다. KTX의 경우 코레일이 대전 소재이기 때문에 대전 시민만 사용 가능하다. 편의점은 본사 소재지가 전부 서울이기 때문에 서울 외 지역에 있는 직영점의 경우 결제가 불가하다.
▲대형마트(코스트코 포함) ▲ 롯데슈퍼·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이마트에브리데이 등 기업형 슈퍼마켓(SSM) ▲백화점(AK·NC·뉴코아 백화점 포함) ▲쿠팡 등 온라인쇼핑몰 ▲하이마트·전자랜드·삼성디지털플라자·LG전자베스트샵 등 대형전자판매점에선 사용할 수 없다.
▲유흥업종 ▲스포츠마사지 등 대인서비스 ▲골프연습장 ▲노래방 ▲오락실 등 유흥 및 사행업종에서도 사용 불가다. ▲통신비 ▲교통비 ▲보험 ▲세금·공공요금 납부도 안 된다.
예외적으로 허용된 사용방법은 있다. 통신사 대리점에 직접 방문하면 휴대전화 단말기 구입뿐 아니라 요금 납부가 가능하다.
배달의민족 등 배달 앱에서는 앱으로 결제 시 사용 불가하지만 배달기사를 만나 현장에서 결제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다. 앱에서 결제할 경우 배달음식을 주문한 식당이 아닌 배달의민족 본사에서 결제한 것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