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전자무늬)코드를 통해 이용자로부터 돈을 송금받는 카카오페이의 ‘소호결제’./사진=카카오페이
QR(전자무늬)코드를 통해 이용자로부터 돈을 송금받는 카카오페이의 ‘소호결제’./사진=카카오페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비대면 온라인 거래가 크게 늘었다. 'OO페이'로 불리는 토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간편송금서비스 이용이 하루 2100억원을 넘어섰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상반기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올 상반기중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등 카드 기반 간편결제서비스는 일평균 731만건, 2139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8.0%, 12.1% 증가했다.


간편결제는 신용카드 등 지급카드의 정보를 스마트폰에 미리 입력해두고 거래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단말기를 접촉하는 방법으로 결제하는 방식이다.

스마트폰에 충전한 선불금을 전화번호나 SNS 등을 활용해 송금하는 간편송금 서비스도 이용실적이 증가했다. 토스와 같은 간편송금 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금액은 3226억원으로 전기대비 20.3% 증가했다. 이용건수는 291만건으로 같은 기간 4.3% 늘었다.


상반기 PG 서비스 이용액은 작년 하반기보다 15.3% 늘어난 6769억원, 이용 건수는 32% 증가한 1782만건으로 집계됐다. 한은 관계자는 “식품, 생활용품, 음식배달 등의 온라인 결제를 주로 대행하는 업체를 중심으로 실적이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상반기에는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선불저잔지급서비스의 이용액도 크게 증가했다. 올 1~6월 중 하루 평균 선불전자지급서비스 이용금액은 4306억원으로 전기대비 26.9% 증가했다. 반면 이용건수는 1998만건으로 같은기간 0.6% 감소했다.


선불전자지급서비스는 미리 충전한 선불금으로 교통요금이나 물품거래대금을 지급하는 서비스로 교통카드나 키프드카드 등을 말한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대면수업이 줄며 대중교통 이용이 감소로 이용건수는 교통카드를 중심으로 감소했지만 선불카드로 긴급재난지원금을 수령해 이용함에 따라 이용금액은 증가세를 유지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