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시민단체들이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6일 간 전국을 순회하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지를 주장하는 시위를 벌였다. /사진제공=녹색원자력학생연대
원자력 시민단체들이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6일 간 전국을 순회하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지를 주장하는 시위를 벌였다. /사진제공=녹색원자력학생연대
원자력 시민단체들이 6일 간 전국을 순회하며 신한울3‧4호기의 조속한 건설과 탈원전 반대를 주장했다.

'사실과 과학 시민네트웍(이하, 사과넷)'은 탈원전 반대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범국민 서명 운동 2주년을 맞아 지난 7일 여의도 국회의사당 소통관 앞에서 출정식을 가진 뒤, 12일 서울역까지 전국을 순회하는 시위를 벌이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지를 주장하고 나섰다.


사과넷, 울진군 범대책위원회, 녹색원자력학생연대, 한수원 노조, 두산중공업 노조, 원자력연구원 노조, 원자력노동조합연대, 원자력정책연대, 원자력국민연대, 원자력살리기국민행동, 에교협, 에너지흥사단, 그린뉴크, 부산에너지학교 등 국내 원자력 살리기 시민단체들이 대거 함께 나섰고 국민의힘 김영식, 박형수 국회의원 등도 참여했다.

춘천, 울진, 안동, 경주, 울산, 부산, 창원, 대구, 대전, 세종, 서울을 순회했으며, 지난 11일에는 대전시청과 한수원의 자료삭제를 수사하고 있는 대전지검 앞에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사과넷 조기양 공동대표는 "대한민국의 에너지 안보와 경제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서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인 기후 악화를 막기 위해서 원자력 발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문재인 정부가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영대 공동대표도 "신한울 3, 4호기의 건설이 하루 늦춰질 때마다 매일 47억여 원의 손실이 발생한다"며 "조속히 건설이 재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온라인 서명운동은 지난 12일 기준 88만명을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