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NSC 전체회의 주재… '남·북·미' 대화 물꼬 틀까
나은수 기자
1,298
공유하기
![]()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 및 외교안보부처 업무보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
문 대통령이 주재한 NSC 전체회의는 이번이 열번째로 '하노이 노딜'에 따른 대응 방안 논의차 2019년 3월4일 열린 후 1년10개월 여 만이다.
이번 회의는 NSC 전체회의와 외교안보 부처(외교·통일·국방부)의 대통령 신년 업무 보고를 병행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회의에는 정세균 국무총리, 강경화 외교부 장관, 이인영 통일부 장관, 서욱 국방부 장관, 박지원 국정원장, 김상조 정책실장, 서훈 국가안보실장, 서주석 안보실 1차장, 김형진 안보실 2차장 등 당연직 NSC 상임위 멤버들이 참석했다. 최재성 정무수석, 정만호 국민소통수석도 함께 배석했다.
이날 회의는 문 대통령의 모두 발언, 강 장관의 안건 보고, 문 대통령의 폐회 선언 순으로 진행됐다. 강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계기 외교안보 정세 전망과 대응 방향'이라는 주제로 공식 안건 보고했고 참석자들의 토론이 진행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공식 출범을 축하하고 우리 정부가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외교·안보 환경에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외교안보 부처(외교·통일·국방부) 장관의 대통령 신년 업무 보고도 진행됐다.
올해 정부 부처 신년 업무보고는 대부분 서면 내지는 비대면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됐지만 세 부처는 대면 보고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외교안보 정책 방향에 대한 종합적 점검과 논의의 중요성을 감안해 서면이 아닌 대면보고 형식으로 실시된다"고 설명했다.
![]() |
문재인 대통령이 NSC 전체회의를 주재했다. /사진=뉴스1 |
외교부는 ▲한반도 평화 실현 외교 ▲가교 국가로서의 중견국 외교 ▲국민 중심 외교 ▲도약하는 경제 외교 등 4가지를 올해 핵심 추진과제로 꼽았다.
통일부는 ▲남북간 연락채널의 조속한 복구 ▲회담 재개를 통한 남북합의 이행 등 남북관계 개선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4·27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 동의 추진 ▲남북교류협력법 개정 등 남북관계 제도화 방안 등을 보고했다.
국방부는 ▲9·19 군사합의 이행 ▲한미 협의를 통한 전작권 전환 가속화 ▲코로나19 백신 수송지원 등을 보고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