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6개 고가하부 활용 공공공간 개관
김경석 기자
1,453
공유하기
![]() |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은 다양한 기반시설 중 고가차도의 새로운 변신에 관심을 가지고 도심 속 이용이 저조한 고가하부 공간을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 조성하여 생활SOC모델을 확립하고자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주변 도시구조와의 연계, 시민을 위한 생활SOC로서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기본구상을 마련하고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사진은 고가하부 전시 포스터./사진제공=서울시 |
적극적이고 실험적인 시도로 추진된 고가하부공간 활용사업은 2018년 4월 성동구 옥수 고가하부활용사업 ‘친환경 실내문화 공간’다락 옥수의 개관을 시작으로 시민들에게 본격적인 고가하부공간에 대한 활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후 ▲ ‘야외 휴게, 문화, 놀이, 체육의 개방형 공간’ 동대문구 이문 고가, ▲ ‘생활체육 중심 시민 복합문화공간’ 성북구 종암사거리 고가, ▲ ‘휴식을 주제로 하는 열린 시민 공간’ 용산구 한남1고가, ▲ ‘스마트도서관 중심의 시민 복합문화 공간’ 금천구 금천고가 등 5개의 고가하부 공공공간이 조성되었고, ▲노원구 노원역 고가 ‘공공시설물 디자인 및 노후 고가하부 경관 개선’의 설계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연내 완료 예정에 있다.
시민들에게 새롭게 재탄생된 6개 고가하부 공공공간이 순차적으로 성공적인 개관을 함에 따라 시설을 친숙하게 소개하고자 기획 및 설계과정, 조성 및 운영 성과 등 지난 5년간 추진된 사업을 기록·정리하여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지하3층 갤러리3에서 2021년 2월16일부터 2021년 4월25일까지 두 달 간의 전시도 시작했다.
김태형 도시공간개선단장은 “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고가하부(고가하부를 즐기는 6가지 방법)’ 라는 주제로 만나는 이번 전시는 도시공간개선단에서 지난 5년간 다양한 기반시설 중 고가차도를 활용하여 시민들의 생활환경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 성과이며, 앞으로 고가하부공간 활용사업이 시 전역으로 확산되어 시민들을 위한 더 많은 공공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바란다.” 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