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역사학자들도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에 대해 기본적 요건도 갖추지 못한 오류 투성이라고 지적했다. 사진은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만든 램지어 비판 포스터. / 자료=반크 홈페이지
일본 역사학자들도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에 대해 기본적 요건도 갖추지 못한 오류 투성이라고 지적했다. 사진은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만든 램지어 비판 포스터. / 자료=반크 홈페이지

미국에 이어 일본의 권위있는 역사학자들도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에 대해 기본적 요건도 갖추지 못했다며 비판했다.

일본의 시민단체 파이트 포 저스티스(Fight for Justice)가 일본사연구회·역사학연구회·역사과학협의회·역사교육자협의회 등 학술단체와 함께 지난 14일 개최한 온라인 세미나에서 일본 역사학자들은 램지어 논문이 오류 투성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은 일본 창기의 계약서 등 사료를 공개하고 위안부는 거부할 수 없는 범죄적 인신매매였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위안부 연구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요시미 요시아키 본 주오대 명예교수는 위안부 제도가 '업자와 여성 간의 계약'이란 램지어의 주장에 대해 "통상의 계약이 아닌 여성의 노예적 구속을 초래하는 범죄적 인신매매 계약이란 점이 무시됐다"고 꼬집었다.

요시미 주오대 명예교수 "램지어 논문, 근거도 없는 제멋대로 이야기“


그는 "이 같은 인신매매를 주도한 것은 업자가 아니라 일본군과 정부였다"며 "일본 육군 내부 문건에는 위안부 모집을 군이 통제했고 헌병과 경찰 당국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다고 나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램지어 논문은 당시 계약서를 한 장도 제시하거나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요시미 교수는 "램지어 논문에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제시돼 있지 않거나 제멋대로 만들어낸 이야기까지 있다"며 "이렇게 본다면 이 논문은 파탄이 난 것으로, 학술 논문으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폄하했다.

이어 "위안부는 거주·외출·폐업은 물론 상대를 거부할 자유도 없는 성노예였다"며 "위안부가 성노예 제도의 피해자였다는 중대한 인권침해 문제를 무시한 논의라는 점은 치명적"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482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한 참석자가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부'라고 역사를 왜곡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를 규탄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뉴스1 임세영 기자
지난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482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한 참석자가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부'라고 역사를 왜곡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를 규탄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뉴스1 임세영 기자


오노자와 릿쿄대 교수 "위안부 제도, 공창제도와 다르다"


일본 근대 여성사를 연구해온 오노자와 아카네 릿쿄대 사학부 교수도 이날 세미나에서 위안부 제도를 공창 제도와 같다는 램지어 논문에 대해 "위안부 제도는 무엇보다 일본군이 주체가 돼 위안소를 설치하고 위안부를 모집했다는 점에서 공창제도와 다르다"고 지적했다.

특히 램지어가 연령별 매춘부 수를 제시하면서 가장 많은 21세 미만을 고의누락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오노자와 교수는 "20세 이하 여성이 가장 많다는 사실은 여성들 자신이 계약의 주체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램지어가 자신의 주장과 맞지 않아 누락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세미나를 공동 주최한 일본 4개 학회는 램지어 논문을 학술 논문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반박 논문들을 영문 등으로 번역·공개하는 한편, 국제법경제리뷰 측에도 보내 재차 램지어 논문 철회를 요구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