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 SKC, LG-SK 소송 합의 최대 수혜주… "장기 수주 불확실성 제거"
안서진 기자
공유하기
![]() |
최근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분쟁을 2조원에 끝내기로 전격 합의한 가운데 최대 수혜주로 SKC가 언급되고 있다./사진=뉴스1 |
키움증권은 12일 SKC에 대해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관련 소송 합의로 불확실성이 제거됐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는 20만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동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 중국 등 글로벌 각 지역에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SKC는 말레이시아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지역의 생산 기지 확보에 대한 당위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올해 5기·6기 플랜트의 조기 가동으로 SKC의 동박 생산능력은 기존 3만4000톤에서 5만2000톤으로 약 53% 증가한다. 올해 하반기와 내년에는 추가적인 생산량과 판매량 증가가 전망된다.
이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SKC의 모빌리티 소재부문 손익은 없어서 못 파는 상황인 업황 대비 크게 개선되지는 않을 전망”이라면서 “이는 긍정적인 일회성 비용 발생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SKC는 정읍 5기·6기 플랜트 증설 및 말레이시아 프로젝트의 조기 안착을 위해 모빌리티 소재부문 인력을 확대하고 있다. 증설하는 정읍 동박 플랜트와 신설하는 말레이시아 플랜트를 무인 운반차, 로봇 등을 도입하고 설비를 개선하는 등 스마트팩토리 수준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인원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다만 공격적 증설 등을 위해 증설 관련 선제적 인력 확보를 하고 있다. 신규 말레이시아 공장은 RE100 등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존 국내 플랜트 대비 원가 개선이 클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SKC는 국내에서 가장 선도적으로 생분해 플라스틱 등 친환경 플라스틱 사업에 진출했다"며 "세계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2조3000억원으로 PLA, PBAT(생분해 플라스틱 제품) 위주의 지속 성장이 예상되고 1회용 용기 시장(PLA) 급성장이 전망되고 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