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2일 밝힌 '서울형 방역지침'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서울시는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자가검사를 활용해 유흥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조치 완화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오히려 역풍을 맞을 위험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사진=뉴스1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2일 밝힌 '서울형 방역지침'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서울시는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자가검사를 활용해 유흥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조치 완화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오히려 역풍을 맞을 위험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사진=뉴스1


"자가검사, 신속항원검사 한계성이 명확하다. 자가검사를 방역조치와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2일 밝힌 '서울형 방역지침'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서울시는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자가검사를 활용해 유흥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조치 완화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오히려 역풍을 맞을 위험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와 자가검사키트를 적극 활용했던 유럽과 미국 상황을 예로들며 '서울형 방역지침'에 물음표를 던졌다.

엄 교수는 자가검사를 활용한 방역지침 완화는 효율성이 떨어질 뿐아니라 추가적인 연구와 검토단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신속항원검사와 자가검사는 전비강(코 앞부분)에서 검체를 채취한다. 하지만 의료기관에서 진행하는 PCR(유전자 증폭 검사) 등은 전비강이 아닌 비인두(코의 안쪽 부분) 검체를 활용해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확인한다.

엄 교수는 "자가검진을 실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비강과 비인두 검체간 차이가 없다는 게 우선적으로 검증되어야 한다"며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보고 한 후 보건당국 승인까지 받기 위해서는 수개월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이 지적한 자가검진키트 정확도 문제를 엄 교수 역시 지적한 것이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3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자가검사는 신속성이 장점이지만 의료인이 채취하지 않는 한계상 정확도를 담보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보통 의료기관에서 하는 항원검사나 PCR테스트는 소위 말하는 콧구멍에서 검사하는 것이 아니고 깊숙하게 비인두까지 들어가서 하는 검사다. 상당한 통증이 수반되지만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가검사 효율성도 문제로 지적했다. 엄 교수는 "누가 검사비를 부담할 것인지, 또 어디에서 검사를 할 것인지 등 사회적 논의를 거쳐야 할 부분이 많다"면서 "확진자가 유흥시설 안에서 검체를 채취하고 결과를 기다렸다고 가정해 보면 자가검사 문제점이 명확해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단장도 "아직 자가검사 키트 인허가 기준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지침을 설명할 수 없다"면서 "(자가)검사의 정확성과 비용대비효과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