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세계 첫 해상풍력 일괄설치기술을 개발했다. /사진=한전
한국전력이 세계 첫 해상풍력 일괄설치기술을 개발했다. /사진=한전
한국전력이 해상풍력 발전기를 10일 만에 바다에 설치할 수 있는 해상풍력 일괄설치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전은 이 공법에 사용되는 해상풍력 일괄설치선 진수식을 7일 전북 군산항에서 진행했다.

해상풍력 일괄설치 기술은 안전한 항구에서 발전기 하부기초와 상부터빈을 모두 조립한 후 발전기 전체 구조물을 들어올려 바다로 운송해 설치하는 기술로 10일 만에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신개념 공법이다.

일괄설치선은 이를 위해 특수제작된 선박이다. 특히 한전이 기존에 개발한 석션기초 설치기술을 활용해 풍력발전기를 바다에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소음·진동과 부유사 하천 또는 해안에서 물의 흐름에 의해 저면으로부터 부상해 수중에서 이동되는 토사 발생이 없어 친환경 효과가 크다는 분석이다.

기존 해상풍력 설치방법은 하부기초를 박아 지반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암반 굴착과 시멘트액 주입 공정을 피할 수 없어 항타소음, 부유사 발생 및 시멘트 주입재로 인한 해양오염 위험성이 있었다.

복잡한 공정으로 터빈 설치까지의 해상공사 기간이 최대 90일이 소모되며 해상 기상악화 시에는 사업지연 가능성도 매우 높았다. 일괄설치선은 최대 1500톤의 중량과 구조물 높이 140m의 고중량, 초장대 풍력터빈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운송하기 위해서 선체운동 해석기술, 운송 전복방지기술 등을 개발해 운송설치 시스템을 최적화했다.

이번 설치로 5㎿(메가와트) 터빈 기준 풍력발전기 설치비는 약 37억원 절감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상 설치기간도 기존 90일에서 10일로 단축될 전망이다. 

일괄설치선은 한전의 서남권 및 신안 해상풍력사업의 하부기초 운송설치에 적용 가능하며 민간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소규모 해상풍력단지나 다목적 해양작업(기상탑 설치·해체, 해양선박 구조, 중대형 해양구조물 운송 등)에도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 다양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현재 한전은 1.5GW(기가와트) 신안 해상풍력사업, 1.2GW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사업과 제주한림 해상풍력 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한전은 2025년 제주한림 사업, 2028년 전북 서남권 사업, 2029년 신안 사업의 개발 및 건설을 완료하고 상업운전을 개시할 계획이다. 

정승일 한전 사장은 "일괄설치선 개발은 우리나라 최초이자 해상풍력 선진국인 유럽조차 아직 완수하지 못한 쾌거로 일괄설치선을 활용한다면 '2050 탄소중립'의 핵심인 해상풍력발전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