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지난 27일 이한열 열사 관련 조형물을 보고 ‘부마항쟁’을 언급해 역사 인식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지난 27일 부산 중구 민주공원을 참배하는 윤 전 총장. /사진=뉴스1(부산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지난 27일 이한열 열사 관련 조형물을 보고 ‘부마항쟁’을 언급해 역사 인식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지난 27일 부산 중구 민주공원을 참배하는 윤 전 총장. /사진=뉴스1(부산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1987년 6월 항쟁 당시 촬영된 이한열 열사 피격 사진을 두고 1979년 부마항쟁 사진이라고 말해 비판을 받고 있다. 윤 전 총장과 동행한 인물들은 윤 전 총장의 실수를 바로 잡아주지 않았다.

윤 전 총장은 지난 27일 부산 민주공원을 방문했다. 광주 5·18 민주묘지와 대구 2·28 민주의거기념탑 등을 참배한 이후 일정이었다.


윤 전 총장은 1987년 6월 항쟁이 기록된 공간을 찾았다. 해당 공간에는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을 맞고 쓰러지는 사진을 담은 조형물이 있었다. 윤 전 총장 옆에 있던 장제원 의원(국민의힘·부산 사상)은 해당 조형물을 보고 ‘이한열 열사’라고 소개했다.

설명을 들은 후 조형물을 살펴보던 윤 전 총장은 “이건 부마(항쟁)인가요?”라고 질문했다. 윤 전 총장은 주변에서 해당 조형물이 ‘이한열 열사’라는 설명을 들었음에도 ‘부마항쟁’이라고 언급한 것이다. 주변에서는 “네” “1979년도”라고 답하는 등 윤 전 총장의 실수를 바로잡아주지 않았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 전 총장을 비판하는 글을 공유했다. /사진=페이스북 캡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 전 총장을 비판하는 글을 공유했다. /사진=페이스북 캡처
앞서 윤 전 총장은 지난 17일 광주에 위치한 이한열 열사 묘소를 참배했다. 참배 당시 윤 전 총장은 “1987년 당시 대학원생으로 연세대학교 앞에서 살고 있었다”며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에 맞은 장면을 목격하지는 못했지만 전후 상황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회 열린민주당 대변인은 지난 29일 CBS라디오 ‘한판승부’에서 윤 전 총장의 실수와 관련해 “교양 없는 모습에 충격받았다”며 “이한열 열사의 사진을 보면서 부마항쟁이냐고 물어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역시 윤 전 총장을 비판하는 글을 공유했다. 조 전 장관이 공유한 글에는 “이것이 평소 당신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역사 인식과 관심도”라는 내용이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