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을 잔여 백신에 한해 '30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한 것과 관련, 대한의사협회가 "이상반응(부작용)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며 우려했다./사진=김휘선 머니투데이 기자
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을 잔여 백신에 한해 '30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한 것과 관련, 대한의사협회가 "이상반응(부작용)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며 우려했다./사진=김휘선 머니투데이 기자


아스트라제네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잔여백신 접종 연령이 '50세 이상'에서 '30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한 첫날인 17일에 1만1651명이 잔여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85.9%가 30~40대였다. 대한의사협회가 3040 연령층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을 경우 이상반응(부작용)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지적한 가운데 우려가 더욱 커진다. 


1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7일 SNS 당일 신속예약 및 예비명단을 통해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을 1만1651명이 접종했다. 이 중 85.9%에 해당하는 약 1만명이 30~49세였다.

50세 이상만 접종이 가능했던 지난 16일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접종자는 4746명이었다.

앞서 정부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 등 백신 부작용을 감안해 AZ 백신의 접종 연령대를 30세 이상에서 50세 이상으로 높였다. 하지만 백신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는 지난 17일부터 당초 50세 이상에만 접종했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잔여백신에 한해 30세 이상에도 허용했다.

하지만 의협은 50세 미만에서 아스트라제네카 2차 예방접종은 다른 백신에 비해 예방효과보다 이상 사건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지적하면서 부작용 우려가 더욱 커진다.

의협은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희망자라고 하더라도 우선적으로 고려되기엔 위험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정부가) 보다 객관적·전문가적 식견을 바탕으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의협과 소통해 적절한 권고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의협은 질병관리청이 지난 11일 발표한 '주간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보고서'와 세계적 학술지 '란셋'의 영국과 미국, 스웨덴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해 이 같이 주장했다.

의협은 "55세 이하에서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 모두에서 전신성 부작용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서 접종률 대비 부작용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잠재적인 위험성이 더욱 높은 50세 미만에 대한 백신 접종 논의는 아직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