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육군은 최근 군인권센터가 제기한 '군납 비리'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뉴스1
24일 육군은 최근 군인권센터가 제기한 '군납 비리'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뉴스1
군 급식시스템 개선을 추진하는 사업에서 육군 제1사단과 대기업이 유착해 '군납 비리'가 발생했다는 의혹에 대해 육군은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육군은 24일 "군은 장병 부실 급식을 해소하고 군내 급식체계 혁신을 위해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1개 대대에 국한해 민간업체와 계약해 식자재 구매를 시행하고 있다"며 "이는 군 급식 시스템 개선 시범사업으로 부대에서는 법률 검토 후 정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육군은 최근 여러 차례 제기된 부실 급식 논란을 의식해 식단을 먼저 편성한 후 식자재를 일반경쟁 입찰로 납품받는 개편안을 추진했다. 이 가운데 제1사단은 '식자재 조달 체계 변경 시범사업' 부대로 지정됐다. 시범 사업으로 국방전자조달시스템(D2B)에서 일반 입찰 경쟁으로 조달하는 방식을 채택했으며 8월 13~19일 장병들이 한 달 동안 먹을 477개 품목 총 1억4000여만원 상당의 식자재 조달 입찰 공고가 게재됐다.

이후 시민단체 군인권센터는 "국방부의 식자재 조달체계 변경 시범 사업 부대로 지정된 육군 제1사단 예하 대대에서 군납 비리 정황이 확인됐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식자재 입찰 공고 설명서에는 식자재 품목별 규격과 형태를 비롯해 원산지와 제조업체명이 명시돼 있었다. 이를테면 고춧가루 항목엔 '중국산·세분·중품·1㎏/봉' 규격을 제시하며 ○○촌에서 생산한 제품을 요구했다. 입찰 공고에 따라 식자재 납품 업체 대기업 H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됐다.


군인권센터 측은 "입찰 공고에 올라와 있던 식자재 품목 중 다수는 H사에서만 취급하는 것들이었고 H사는 국방부 사업 준비 과정에서 수차례 자문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애초부터 H사를 식자재 공급 업체로 낙찰하기 위해 H사의 공급 물품 목록을 따다 입찰 공고를 냈다"며 "사실이라면 이는 불공정 거래이자 군납 비리"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방부와 관계 부처는 고집을 꺾고 경쟁 조달 시스템을 원점 재검토하라"면서 "해당 부대에 대한 즉각적 감사를 실시하고 필요하다면 수사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육군 측은 "입찰 공고 단계에서 제조업체가 표기된 품목을 지정해 대형 유통업체에게 용이하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입찰 공고문에 게시된 식자재 목록은 특정 업체가 아닌 일반 업체들도 참여 가능한 식자재 품목들"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