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밑에서 주워왔어"… 자녀 성교육 실시하는 학부모 37.9% 불과
강인귀 기자
2,981
공유하기
성장기 아이들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유해 콘텐츠에 무분별하게 노출되면서 성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유해 콘텐츠를 접하며 자칫 잘못되거나 왜곡된 성 인식이 확립될 수 있어서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성교육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하면서도, 가정에서 교육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렇다면 학부모들은 자녀 성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글로벌 교육 문화 기업 비상교육이 2021년 11월 한 달간 초등 학부모 교육정보 커뮤니티 '맘앤톡'을 통해 학부모 4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녀 성교육'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가정에서 꾸준히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부모는 37.9%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자녀에게 성교육을 하고 계신가요'라는 물음에 '한두 번 한 적이 있다'가 46.7%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가끔 하고 있다'(28.5%), '전혀 한 적이 없다'(15.3%), 꾸준하게 하고 있다(9.4%) 순으로 집계됐다. 지속해서 성교육을 실시하는 학부모는 37.9%에 불과했으며, 전혀 한 적이 없는 학부모도 15.3%로 나타나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성교육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정에서 성교육을 하게 된 계기'(경험이 없다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응답)가 무엇인지 물었더니 27.4%에 달하는 학부모가 '아이들의 올바른 성 인식 확립을 위해서'라고 답했다. '자녀가 질문해서'가 23.8%로 뒤를 이었고, '2차 성징이 나타나서'와 '성폭력 방지를 위해서'가 각각 13.5%를 기록했다. 이어 'TV, 인터넷 등 미디어에서 유해 콘텐츠에 노출 될까봐'(12.8%), '이성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서'(7.6%), '기타'(1.3%) 순이었다.
부모들은 가정에서 성교육을 실시할 때 무엇을 가장 어렵게 느끼고 있을까. 44.5%의 학부모가 '자녀에게 필요한 성교육 내용과 방법을 모른다'고 답했다. '설명하기가 부끄러움'(19.8%), '교육 자료가 부족함'(16.4%), '본인의 성 관련 지식이 부족함'(15.7%), '어려운 점 없음'(2.2%), '기타'(1.3%) 순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설문에 참여한 한 학부모는 "자녀 성교육이 요즘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학부모는 "어떻게 성교육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학부모들은 가정에서 성교육을 실시할 때 어떤 자료를 참고하고 있을까. '전문가 강연'이 40.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관련 도서'(33.9%), '인터넷 검색'(22.7%), '기타'(1.8%), '없음'(1.3%) 순이었다. 대부분의 학부모가 전문가의 강연과 관련 도서,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성교육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정에서 성교육을 한다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라는 물음에는 '자녀와 대화하기'가 44.9%로 가장 많았다. '관련 도서 함께 읽기'가 27.6%로 두 번째로 많은 응답 비중을 보였다. 이어 '관련 교육 함께 참석하기'(23.4%), '문화체험 활동하기'(3.8%), '기타'(0.2%)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 성교육 전문가인 이현숙 탁틴내일 상임대표는 맘앤톡을 통해 "드라마, 영화, 신문 등을 보면서 성과 관련된 주제가 나왔을 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며 아이 스스로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다"며 "이때 부모의 생각을 강요해선 안 되고, 아이의 생각을 존중해 주고, 부모는 아이의 편이라는 믿음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성교육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하면서도, 가정에서 교육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렇다면 학부모들은 자녀 성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글로벌 교육 문화 기업 비상교육이 2021년 11월 한 달간 초등 학부모 교육정보 커뮤니티 '맘앤톡'을 통해 학부모 4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녀 성교육'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
/사진=비상교육 |
이에 따르면 가정에서 꾸준히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부모는 37.9%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자녀에게 성교육을 하고 계신가요'라는 물음에 '한두 번 한 적이 있다'가 46.7%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가끔 하고 있다'(28.5%), '전혀 한 적이 없다'(15.3%), 꾸준하게 하고 있다(9.4%) 순으로 집계됐다. 지속해서 성교육을 실시하는 학부모는 37.9%에 불과했으며, 전혀 한 적이 없는 학부모도 15.3%로 나타나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성교육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정에서 성교육을 하게 된 계기'(경험이 없다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응답)가 무엇인지 물었더니 27.4%에 달하는 학부모가 '아이들의 올바른 성 인식 확립을 위해서'라고 답했다. '자녀가 질문해서'가 23.8%로 뒤를 이었고, '2차 성징이 나타나서'와 '성폭력 방지를 위해서'가 각각 13.5%를 기록했다. 이어 'TV, 인터넷 등 미디어에서 유해 콘텐츠에 노출 될까봐'(12.8%), '이성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서'(7.6%), '기타'(1.3%) 순이었다.
부모들은 가정에서 성교육을 실시할 때 무엇을 가장 어렵게 느끼고 있을까. 44.5%의 학부모가 '자녀에게 필요한 성교육 내용과 방법을 모른다'고 답했다. '설명하기가 부끄러움'(19.8%), '교육 자료가 부족함'(16.4%), '본인의 성 관련 지식이 부족함'(15.7%), '어려운 점 없음'(2.2%), '기타'(1.3%) 순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설문에 참여한 한 학부모는 "자녀 성교육이 요즘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학부모는 "어떻게 성교육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학부모들은 가정에서 성교육을 실시할 때 어떤 자료를 참고하고 있을까. '전문가 강연'이 40.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관련 도서'(33.9%), '인터넷 검색'(22.7%), '기타'(1.8%), '없음'(1.3%) 순이었다. 대부분의 학부모가 전문가의 강연과 관련 도서,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성교육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정에서 성교육을 한다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라는 물음에는 '자녀와 대화하기'가 44.9%로 가장 많았다. '관련 도서 함께 읽기'가 27.6%로 두 번째로 많은 응답 비중을 보였다. 이어 '관련 교육 함께 참석하기'(23.4%), '문화체험 활동하기'(3.8%), '기타'(0.2%)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 성교육 전문가인 이현숙 탁틴내일 상임대표는 맘앤톡을 통해 "드라마, 영화, 신문 등을 보면서 성과 관련된 주제가 나왔을 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며 아이 스스로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다"며 "이때 부모의 생각을 강요해선 안 되고, 아이의 생각을 존중해 주고, 부모는 아이의 편이라는 믿음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