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방송 6개사 공동 주관 '2022 대선후보 초청 토론'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2.2.11/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방송 6개사 공동 주관 '2022 대선후보 초청 토론'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2.2.11/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서울=뉴스1) 이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11일 TV토론에서 외교·안보를 놓고 맞붙었다.

이 후보는 "국가 지도자가 선제타격을 거론하면 안 된다"고 공세를 폈고 윤 후보는 이 후보의 '사실상 종전 상태' 발언에 "전쟁 억제력을 약화한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MBN스튜디오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방송 6개사 공동주관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지금이 종전 상태라고 보는가'라는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질문에 "사실상은 종전상태가 맞는데 법률상은 정전상태"라고 답했다.

그러자 윤 후보는 "전쟁이 끝나면 양쪽 군대가 철수하고 자유롭게 교통하고 교류한다. 남북은 그런 상태가 아니고 휴전선 중심으로 40개 사단이 대치하고 수천문의 방사포, 장사정포, 미사일 기지가 구축돼 있다"며 "북한은 핵미사일을 고도화해서 실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전 상태로 관리가 되고 있다는 것은 유엔(UN)사와 배후 기지를 유치함으로써 불의의 사태가 벌어졌을 때 자동개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이거 자체가 바로 전쟁 억제력을 갖는 건데 종전하면 전쟁 억제력을 약화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친중, 친북, 반미라는 이념적 지향에서 서 있는 것"이라며 "국가의 안보나 평화유지를 위해서 저희가 전쟁 억제력을 가져야된다는 것과는 거리가 먼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이에 이 후보는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만들려는 노력보다 어떻게든 대립을 격화하려는 의지가 읽어지는 것 같다"며 "전쟁에서 이기는 것은 중요하나 전쟁에서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중요하고, 싸우지 않아도 될 상태를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 현실적으로 선제타격하겠다고 해서 도발하면 안 된다. 국가 지도자는 그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또 윤 후보를 향해 "전시작전권 회수를 반대하면서 선제타격을 이야기하는 것이 모순"이라며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와 관련해서도 '필요가 없다'고 브룩스 전 미국 사령관이 이야기했는데 (윤 후보는) 저번에 '사령관이 이야기한 적 없다'고 한 것은 잘못된 이야기인 것을 인정하나"라고 비판했다.


이에 윤 후보는 "(이 후보 발언은) 전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엉터리 이야기다. 우리나라 합참의장 인사청문회에서도 이야기했다. (북한의) 핵이 고도화되면 필요하다고 했다"며 "브룩스 전 사령관은 성주 사드에다가 저고도(미사일 방어체계)를 결합해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야기지 추가 배치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