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6일 '우리은행 횡령사고에 대한 검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우리은행 기업개선부 소속 차장 전 모씨가 2012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약 8년 동안 8회에 걸쳐 697억3000만원을 빼돌린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우리은행 본점./사진=우리금융
금융감독원은 26일 '우리은행 횡령사고에 대한 검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우리은행 기업개선부 소속 차장 전 모씨가 2012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약 8년 동안 8회에 걸쳐 697억3000만원을 빼돌린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우리은행 본점./사진=우리금융


우리은행 직원의 횡령 규모가 697억원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알려진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 계약금 614억원에 더해 우리은행이 보유한 모 회사의 출자전환주식까지 가로챈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26일 '우리은행 횡령사고에 대한 검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우리은행 기업개선부 소속 차장 전 모씨가 2012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약 8년 동안 8회에 걸쳐 697억3000만원을 빼돌린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전 씨는 우리은행이 채권단을 대표해 관리하던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 계약금 614억5000만원을 2012년 10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횡령했다. 2012년 10월 173억3000만원, 2015년 9월 148억1000만원, 2018년 6월엔 293억1000만원을 빼돌렸다.


금감원에 따르면 전 씨는 상급자의 직인을 도용해 출금하거나 관련 공·사문서를 위조해 출금 결재를 받는 수법을 사용했다.

또 그는 2014년 8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천공장 매각 계약금 60여억원을 횡령했다. 그는 공장 매각 추진 과정에서 몰취한 계약금과 각종 환급금 등 총 57억7000억원을 예치기관에 허위 출금 요청 공문을 발송해 지급받았다. 2016년 6월엔 공장 매각 자금 중 소액채권자 몫 1억6000만원을 동생 명의 회사로 이체했다.


전 씨는 우리은행이 보유하고 있던 23억5000만원어치 출자전환주식도 가로챘다.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계약금 횡령 4개월 전인 2012년 6월 4일 전씨는 한국예탁결제원 예탁관리시스템에서 A사 주식 출고를 요청한 후 자리를 비운 팀장의 OTP(일회용 비밀번호 보안 서비스)를 도용해 해당 주식을 인출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전씨는 인출한 주식을 동생 명의의 증권계좌로 입고시켰다.

금감원은 지난 4월27일 우리은행으로부터 600억원대 횡령사고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6월30일까지 43영업일 동안 현장검사를 진행했다.


앞으로 금감원은 검사에서 확인된 사실관계를 기초로 엄밀한 법률검토를 거쳐 A씨와 관련 임직원 등에 법규와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감원은 금융위와 함께 향후 은행권 등 금융권에서 거액 금융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금융사고 예방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공동 TF를 구성해 내부통제 개선방안 마련을 추진할 것"이라며 "경영실태평가시 사고예방 내부통제에 대한 평가비중 확대 등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