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재고가 외환위기 이후 26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 경기침체가 본격화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사진=이한듬 기자
기업들의 재고가 외환위기 이후 26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 경기침체가 본격화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사진=이한듬 기자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기업 재고가 대외변수에 따른 일시적 조정이 아닌 본격적인 경기침체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기업 활동으로 본 최근 경기 상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산업활동동향의 제조업 재고지수 증가율(계절조정 전년동기비)은 18.0%로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2분기(22.0%) 이후 26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최근 재고 증가 흐름은 지난해 2분기를 저점으로 4개 분기 연속 상승하고 있다. 분기 기준으로 장기간 재고지수가 상승세를 보인 것은 2017년 이후 4년이다.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의 재고지수 증감률은 지난해 2분기 -6.4%에서 올해 2분기 22.0%로 치솟았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1.2%에서 7.0%로 상대적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대한상의가 한국평가데이터에 의뢰해 매분기 재무제표를 공시하는 1400여개 제조업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기업의 재고자산은 지난해 2분기 61조 4770억원에서 올해 2분기 89조103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중소기업 재고자산의 증가분(7조 4370억원→9조 5010억원)을 압도한다.


제조업 전체로는 지난해 2분기 대비 올해 2분기 재고자산이 39.7% 증가했으며 세부 업종별로는 '비금속 광물제품'(79.7%) '코크스·연탄 및 석유정제품'(64.2%)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58.1%) '1차 금속'(56.7%) 등의 재고자산 증가율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재고자산 물량이 가장 많은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의 경우 전체 제조업 재고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2분기 24.7%에서 올해 2분기 27.9%로 확대됐다.


제조업 생산지수와 출하지수는 4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출하의 감소폭이 생산 감소폭보다 더 커 생산-출하간 격차가 지난해 2분기 0.3에서 올해 2분기 4.4로 계속 벌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판매(출하)가 줄어들면 제품이 쌓이고(재고) 기업들이 이에 맞춰 생산을 감소시켜 생산-출하가 비슷한 추세를 보이지만 최근의 생산지수-출하지수 격차는 오히려 확대되는 모습이다.

이는 기업들이 판매 부진에도 불구하고 생산을 탄력적으로 조정하지 못하고 오버슈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분기 말부터 기업들이 일부 생산을 조절하고 있으나 재고가 이미 높은 수준이라 3분기부터는 생산 감소가 본격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대한상의는 내다봤다.

기업들이 공장 가동률을 낮추게 되면 유휴 인력이 발생하고 그만큼 고용과 신규 시설투자가 줄어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미 상당수 기업은 올해 채용 및 시설투자를 재검토하거나 보류하는 추세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정부가 최근 무역수지 개선, 중장기 수출경쟁력 강화 지원 등 수출 종합 전략을 발표한 만큼 이를 조속히 실행에 옮기는 한편 코세페(코리아 세일 페스타)·동행세일 등 내수 진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반기 중 마련·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의 채산성 악화가 생산 감소와 고용·투자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규제·노동·금융·교육 등 구조개혁을 통해 우리 경제의 고비용 구조를 개선해 나가는 것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