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일 0시 기준  8981명 발생하며 확진자 규모가 98일 만에 1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사진은 지난 9일 오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의 모습. /사진=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일 0시 기준 8981명 발생하며 확진자 규모가 98일 만에 1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사진은 지난 9일 오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의 모습. /사진=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일 0시 기준 8981명 발생하며 국내 총 누적 확진자는 2497만9770명이 됐다. 신규 확진자 수가 1만명 밑으로 떨어진 건 지난 7월4일 이후 처음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 1만7654명보다는 8673명, 일주일 전 1만2150명보다는 3169명 줄었다.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도권 비중 52.3%… 해외유입 확진자 47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일 0시 기준  8981명 발생한 가운데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이 4697명을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9일 오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사진=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일 0시 기준 8981명 발생한 가운데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이 4697명을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9일 오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사진=뉴스1


지역별 신규 확진자 수는 서울 1493명, 경기 2632명, 인천 569명 등 수도권이 4697명으로 52.3%를 차지한다.

비수도권에서는 4247명(47.3%)이 나왔다. 경북 543명, 대구 472명, 강원 418명, 경남 409명, 충북 349명, 충남 327명, 부산 316명, 전북 302명, 대전 273명, 전남 257명, 광주 233명, 울산 186명, 제주 79명, 세종 76명이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발생 확진자는 8934명, 해외유입 확진자는 47명이다.

국내발생 확진자 중 수도권에서 4694명(52.5%), 비수도권에서 4240명(47.5%)이 각각 발생했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이 2059명(23.0%),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은 1884명(21.1%)이다.


해외유입 확진자 중 검역 단계에서 37명, 지역사회에서 10명이 각각 확진됐다. 내국인은 44명, 외국인은 3명이다. 유입 추정 국가는 유럽 29명, 중국 외 아시아 10명, 아메리카 7명, 중국 1명이다.

신규 입원 환자 수는 46명이다. 전날(79명)보다 33명 줄었다.

위중증 311명·사망자 23명… 여전히 60세 이상 고령층 위험

10일 0시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311명이며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23명을 기록했다. 사진은 '스카이코비원멀티주' 3~4차 추가접종이 시작된 지난 9월19일 오전 서울 송파구보건소에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모습. /사진=뉴스1
10일 0시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311명이며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23명을 기록했다. 사진은 '스카이코비원멀티주' 3~4차 추가접종이 시작된 지난 9월19일 오전 서울 송파구보건소에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입원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311명이다. 전날(305명)보다 6명 늘었다.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 고령층이 268명(86.2%)이다. 80세 이상 151명(48.6%), 70대 68명(21.9%), 60대 49명(15.8%)이다. 60세 미만 중에서는 50대 19명(6.1%), 40대 12명(3.9%), 30대 5명(1.6%), 10대 미만 4명(1.3%), 20대 2명(0.6%), 10대 1명(0.3%)이 위중증 상태로 치료 중이다.

지난 9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18.8%다. 병상 1610개 가운데 1307개가 비어 있다. 수도권 가동률은 18.8%, 비수도권은 19.0% 수준이다.

준중증 병상과 중등증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각각 25.1%, 12.2%다. 재택치료가 어려운 무증상·경증 환자가 주로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의 가동률은 0.9%다.

전날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23명으로 직전일(29명)보다 6명 감소했다. 이들 사망자 모두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80세 이상 13명(56.5%), 70대 9명(39.1%), 60대 1명(4.3%)이다. 누적 사망자는 2만8698명, 전체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을 의미하는 치명률은 0.11%이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대상자는 13만1342명이다. 전날 1만244명(수도권 6010명, 비수도권 4234명)이 신규로 재택치료에 들어갔다.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는 전국에 180곳이 있다.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만3968곳,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검사·처방·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만185곳(비대면 진료 가능기관 8035곳)이 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