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지난 1일 나가사키현 소재 하시마(군함도)에 대한 '조선인 강제노역'을 두고 조선인을 향한 차별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사진은 지난 2018년 6월21일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공개한 재일동포 고 김광렬씨가 수집한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 중 김씨가 촬영한 군함도 전경. /사진=행안부 제공
일본 정부가 지난 1일 나가사키현 소재 하시마(군함도)에 대한 '조선인 강제노역'을 두고 조선인을 향한 차별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사진은 지난 2018년 6월21일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공개한 재일동포 고 김광렬씨가 수집한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 중 김씨가 촬영한 군함도 전경. /사진=행안부 제공


일본이 '일제강점기 당시 나가사키현 소재 하시마(군함도) 탄광에서의 조선인 강제노역에 대한 미흡한 설명을 보완하라'라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요구에 당시 조선인 차별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우리 정부는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5일 일본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 1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과 관련한 보전상황 보고서를 제출했다. 보고서에는 '일제강점기 당시 군함도에서 사실상 조선인 차별이 없었다'라는 취지의 내용이 담겼다.

일본 정부는 보고서에 "국가총동원법에 근거한 국민 징용령은 모든 일본 국민에게 적용됐다"고 기재했다. 이는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인을 같은 일본 국민으로 취급했다는 주장이다.


이에 우리 정부는 5일 "이행경과보고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 홈페이지에 공개되는 대로 면밀히 검토한 뒤 필요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보고서에 '군함도의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 등에 대한 설명 등 후속조치가 불충분하다'라는 유네스코의 지적에 대해 "(후속조치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조선인 노동자와 관련해선 "당시 일본이 전시 중 노동력 부족에 빠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한국 등에서 군함도를 나치·독일 수용소와 동일시하는 주장에 대해선 "나치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라는 해외 지식인의 견해 등을 소개하며 부인했다.


세계유산위원회가 일본 정부의 군함도 설명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담은 결의를 채택한 것을 두고 "진지하게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출처가 분명한 자료와 증언을 토대로 군함도의 역사를 차세대에 계승해 나가겠다는 뜻을 전했다.

일본은 지난 2015년 '군함도'가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 시설 23곳 가운데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던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2020년 6월 일본의 산업유산정보센터엔 오히려 '군함도에서 조선인 차별과 인권침해 등이 없었다'는 취지의 증언 등 전시물이 소개돼 논란이 일었다. 이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해 7월 일본 정부를 상대로 "강한 유감"을 표하면서 지난 1일까지 관련 보고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