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차례상에 전 없어도 된다?… '유교 전문가' 의견 들어보니
정영희 기자
6,246
공유하기
|
무엇보다 즐거워야 할 명절에 오히려 다투거나 싸우는 가족들의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스트레스로 인해 명절 전후로 두통이 생기고 피로가 누적되는 현상을 부르는 '명절 증후군'이라는 신조어가 생겼을 정도다. 그 중 과한 차례상과 그로 인해 들어가는 노동력이 큰 문제로 지목돼 왔다.
'유교 전문가'들의 생각은 어떨까.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와 성균관유도회총본부는 지난 1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함께하는 설 차례 간소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명절 스트레스 중 하나로 꼽히는 차례상에 전을 올리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최영갑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설 차례상은 간소화를 기준으로 가족들과 상의해서 해도 무방하다. 차례상은 누가 뭐라고 해도 조상을 모시는 정성이 제일이다. 정성은 없는데 제수만 많이 차린다고 해서 좋은 것이 결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아직도 많은 분들이 차례와 제례를 혼동하는 것 같아 다시 말씀을 드린다"며 차례상 간소화를 당부했다. 명절에 지내는 차례는 음식, 과일, 술과 차를 올리며 지내는 약식제사로서 축문을 읽지 않는다. 반면 조상·부모의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유교 의식인 기제(제사)를 지낼 때는 술을 올리고 축문을 읽는다.
과일을 놓는 방법 중에는 흔히 홍동백서(제사상에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것)나 조율이시(대추·밤·배·감) 등이 유교 예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 위원장은 "이를 별도로 다룬 문헌은 없다"며 "차례상에는 밥과 국, 나물과 함께 간단한 음식과 과일 4~6가지를 올리면 된다"고 전했다. 성묘도 마찬가지다. 차례를 지낸 후 성묘를 가거나 아예 차례를 지내지 않고 성묘만 가는 집도 있으니 가족과 상의 후 정하면 된다는 것이 성균관의 입장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정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