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사 팬오션이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는 평이다. 사진은 팬당진 호 /사진=팬오션
해운사 팬오션이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는 평이다. 사진은 팬당진 호 /사진=팬오션


▶기사 게재 순서
①하림의 핵심 엔진 된 팬오션… 지주 매출 절반 차지
②롤러코스터 업황에… 팬오션, 리스크 관리 가능할까
③팬오션 최대주주 하림, ESG경영 강화



종합해운기업 팬오션은 하림그룹의 핵심 축으로 평가받는다. 닭고기 전문 기업 하림이 팬오션을 인수하면서부터 대기업집단으로 올라섰고 현재는 그룹의 대소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등 이른바 '몸통'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팬오션은 지난해 운임이 치솟던 해운업 호황으로 좋은 실적을 거뒀다. 이 덕분에 최대주주이자 그룹 지주사인 하림지주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치솟았다. 하림지주는 해운업과 식품업 영위 자회사의 실적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을 매출액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팬오션 지난해 매출은 6조4203억원으로 전년 대비 39% 늘고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38% 증가한 7896억원을 기록했다. 하림지주도 지난해 매출이 전년과 견줘 28.96% 늘어난 13조9392억원, 영업이익도 27.41% 는 9487억원이었다.

'한국의 카길' 가능할까

팬오션의 모태는 1966년 5월 해상화물운송업을 목적으로 세워진 범양전용선이다. 1967년 11월 국내 최초로 원양 대형 유조선 운송사업을 시작했고 1972년 11월 건화물 운송 부문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한 게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78년 12월 보유선대가 31척을 넘었고 현재는 보유 선박이 110척으로 늘었다. 연간수송량은 2021년 1억1214만톤, 2022년 1억448만톤이다.

STX그룹에 인수된 건 2004년 11월이다. 사명도 STX팬오션으로 바꿔 9년여 동안 황금기를 보내다가 2013년 STX그룹이 무너지며 같은 해 12월 계열 분리 후 사명을 팬오션으로 변경했다. 이후 회생절차를 밟았다. 2015년 7월 하림그룹이 JKL파트너스와 함께 1조79억5000만원에 인수했다.


당시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은 "한국판 카길을 꿈꾸며 인수했다"며 "10년 내 카길과 같은 아시아 최대 곡물 메이저가 되겠다"는 원대한 포부를 밝혔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사진=머니투데이DB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사진=머니투데이DB


'카길'은 세계 1위 곡물업체로 곡물 생산과 유통은 물론 사료와 해운에서도 큰손으로 통한다. 식량 안보 차원에서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곡물 운송을 국내 해운업체가 책임져야 한다는 비전을 강조해온 김 회장이 롤모델로 삼은 배경이다.

팬오션은 하림에 편입되자 전담 조직을 만들고 곡물 유통사업에 뛰어들었다. 축산업에 필요한 사료 원료 대부분을 수입하던 하림은 팬오션 인수로 원료 운송비 절감은 물론 안정적인 유통망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


해운업계는 김 회장이 언급한 카길이 가족회사인 점도 눈여겨 봐야 한다고 얘기하는데 카길은 하림과 달리 외부 자본을 끌어들이지 않는 경영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다르다.

김 회장은 1남 3녀를 슬하에 뒀다. 후계자는 사실상 장남 김준영씨로 굳어진 상태다. 장녀 김주영, 차녀 김현영, 막내 김지영도 그룹 내 계열사들 지분을 나눠 갖고 있지만 지배구조와는 관계가 없다는 게 회사 측 설명.

2022년 9월30일 기준 팬오션 최대주주는 지분 54.7% 보유한 하림지주다. 하림지주 최대주주는 지분 21.10%의 김홍국 하림 회장이다. 1.27%를 보유한 ㈜경우와 0.73%의 농업회사법인 ㈜익산은 김 회장이 최대주주여서 김 회장 관련 지분은 23.1%가 넘는다.

김준영씨는 관계사를 통해 하림지주를 지배한다. 하림지주는 한국바이오텍 16.69%, 올품 5.78%를 보유했는데 올품은 김준영씨가 100% 지분을 보유한 개인 회사며 한국바이오텍은 올품이 100% 보유한 회사다. 사실상 김준영씨가 하림지주 지분 22.47%를 차지한 셈이다. 이외에는 국민연금 6.94%, 소액주주 38.49%로 구성됐다.

잘나가는 팬오션, 과거 악몽 떠올라

하림지주 사업영역 /자료=하림지주
하림지주 사업영역 /자료=하림지주


하림지주 실적의 절반가량을 책임지는 팬오션이지만 안심할 순 없다.

과거 팬오션을 소유했던 STX는 재계 10위권까지 올라설 만큼 위세를 떨쳤음에도 무리한 사업 확장 탓에 무너졌다. 현재 팬오션은 300여척의 선대운영과 장기운송계약을 통해 해운시황 변동성에 대응하고 있다. 하림은 ▲지주회사 ▲가금(닭, 오리)사업 ▲사료사업 ▲양돈사업 ▲유통사업 ▲해운사업 ▲해외법인 ▲기타 특화사업부문 등 5개의 상장회사와 국내외 82개 비상장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재계에서는 팬오션의 호실적은 해운 운임 호황 덕분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재계 관계자는 "팬오션의 운송 실적은 수년간 큰 차이가 없는데 지난해 해운 운임 급상승으로 매출과 영업익만 늘어났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