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 실언으로 논란이 된 김재원 국민의힘 수석 최고위원의 중징계 여부를 두고 당 의원들이 온도차 있는 반응을 보였다. 사진은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는 김 최고위원. /사진=뉴스1
두 차례 실언으로 논란이 된 김재원 국민의힘 수석 최고위원의 중징계 여부를 두고 당 의원들이 온도차 있는 반응을 보였다. 사진은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는 김 최고위원. /사진=뉴스1


연이은 우파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김재원 국민의힘 수석 최고위원의 징계 여부를 두고 당내에서 엇갈린 반응이 나타났다.

논란의 시작은 3·8 전당대회 직후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12일 5·18민주화운동을 두고 실언을 해 뭇매를 맞았다. 당시 그는 전광훈 목사가 주관하는 사랑제일교회 주일예배에서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헌법에 수록할 수 없다" "표를 얻으려면 조상묘도 파는 게 정치인 아니냐" 등 망언을 내뱉었다.


이후 미국을 방문한 김 최고위원은 지난 26일 재미 보수단체인 북미주자유수호연합 주최로 애틀랜타한인회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전광훈 목사가 우파 진영을 천하통일했다"고 발언해 여권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하지만 당 지도부는 김 최고위원에게 구두경고하는 선에서 마무리했다. 김기현 대표는 지난 30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김 최고위원의) 그런 언행을 반복하지 않도록 유심히 지켜보겠다"면서도 "이런 행태가 반복되면 그에 대한 또 다른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이 재차 실언 논란에 휩싸일 경우 징계를 검토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반면 홍준표 대구시장은 연일 김 최고위원을 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명은 당 윤리위원회가 내릴 수 있는 최고수위 징계다. 홍 시장은 지난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인성이 나쁜 사람은 정치가 아니라 사치하기 때문에 국민을 속이는 나쁜 짓만 골라 한다"며 "아무리 유능해도 인성이 좋지 않은 사람은 곁에 두거나 가까히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14일 "경상도 사투리에 '벌구'라는 말이 있다"며 "당의 지도부에 있으면서 '벌구' 버릇을 버리지 못하는 사람은 당에 해악을 가져오기에 당을 위해서 퇴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28일에는 "실언이 일상화된 사람에게 경고해도 소용 없다"며 "만날 실언만 하는 사람은 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홍 시장과는 사뭇 다른 입장도 있다. 징계까지는 아니더라도 윤리위에서 논의하는 등 행동으로 경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3선의 조해진 의원은 CBS라디오에서 "(윤리위) 논의는 필요하지만 제가 징계 여부에 대해 이야기할 부분은 아닌 듯하다"며 "징계를 떠나 당이 공식적으로 이 문제를 다뤄 김 최고위원에게 사태의 엄중함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논란에 대해서는 구두경고로 넘어가자는 의견도 있다. 이재오 상임고문은 지난 30일 YTN과의 인터뷰에서 "말해 놓고 사과하는 것을 반복하는 건 아주 습관성"이라며 "한 번만 더 하면 삼진아웃하든지 본인 스스로 (최고위원직을) 그만두고 떠나든지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최고위원이 실언으로 또 다시 구설에 오를 경우 징계를 내리겠다는 것이다.


논란이 계속되자 김 최고위원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최근 저의 발언으로 국민 여러분께 많은 심려를 끼치고 당에도 큰 부담을 안겨드린 점에 대해 진심으로 반성한다"며 "앞으로 이런 일이 없도록 자중하겠다"고 사과했다. 그는 같은날 회의를 마친 후에도 기자들과 만나 "모두 다 제 잘못"이라며 "앞으로 전 목사의 '전'자도 언급하지 않겠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