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지난해 6월 2703만191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7월(2701만9253명)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지난달까지 9개월째 지속해서 감소했다. /사진=뉴스1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지난해 6월 2703만191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7월(2701만9253명)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지난달까지 9개월째 지속해서 감소했다. /사진=뉴스1



분양가 규제로 시세 대비 싸게 아파트를 살 수 있는 신규 분양시장의 인기가 줄어들고 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분양가 상승과 고금리 여파로 기존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는 상황에 청약통장 해지가 줄을 잇고 있다.


1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전국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2605만7127명으로 2월(2613만7772명) 대비 8만645명(0.3%) 감소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지난해 6월 2703만191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7월(2701만9253명)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지난달까지 9개월째 지속해서 감소했다.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으로 분양가는 오르지만 부동산 경기침체로 아파트 가격은 하락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청약통장 금리가 시중은행 금리와 차이가 큰 점도 청약통장 해지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세대출 금리가 4% 안팎으로 오른 데 반해 청약통장 이율은 연 2.1%에 불과하다. 이에 대출 이자나 원금 상환을 위해 청약통장을 해지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청약통장 감소세는 최근 들어 둔화하는 모습이다. 지난 1월과 2월에 각각 14만, 10만명이 감소한 데 이어 지난 3월에는 8만명이 감소해 감소 폭이 줄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서울 내 비규제지역 청약 당첨자의 실거주 의무가 폐지되고 무순위 청약에서 거주 지역 요건이 완화되는 등 청약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청약 수요가 살아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