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 주도권 잡는다" 8개 카드사, 모바일 결제 규격 표준화 추진
강한빛 기자
3,504
공유하기
|
여신금융협회는 카드사, VAN(부가가치통신사업자)사, 간편결제사가 모바일 결제 공통 규격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4일 진행된 업무 협약식에는 신한·KB국민·현대·삼성·롯데·우리·NH농협·하나카드 등 8개 카드사, 나이스정보통신, 한국정보통신, KIS 정보통신 등 3개 VAN사, 카카오페이의 디지털 담당 임원과 실무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여사는 국내 소비자의 모바일 결제를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구축하기 위해 모바일 QR 결제 공통규격으로 'EMV QR'을 채택했으며 오는 6월까지 규격 결정 및 각 사 전산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존에는 특정 카드사, VAN사, 간편결제사가 각각 진행했던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공통된 규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각 카드사 및 간편결제서비스 제공업체가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공통된 QR 규격을 이용하면 결제서비스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참여사들은 기대 중이다.
참여사들은 공통 QR 규격 확산을 위해 회사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국내 모바일 결제 공통 규격 추진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소비자는 더 많은 가맹점에서 간편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가맹점도 간편결제서비스를 쉽게 도입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QR 결제 공통 규격이 마련되면 해외 간편결제사들도 한국을 여행하는 해외 관광객들에게 더욱 많은 가맹점에서 자신들의 간편결제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게 된다.
여신협회 관계자는 "이번 공동망 구축을 통해 모바일 결제서비스 주도권을 카드사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협약은 애플페이 서비스 개시 및 삼성페이 수수료 정책 등 타 간편결제사 정책 결정에 대한 견제는 전혀 아니다"며 "모바일 온라인 결제 보편화에 따라 소비자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결제수단을 제공하자는 목적"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애플은 지난 3월21일 현대카드와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카드사들에게 기존 '삼성페이' 서비스 계약을 자동 연장하지 않겠다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수수료 유료화 수순을 밟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한빛 기자
머니S 강한빛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