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울 3·4호 '5兆 단비'… 탈원전 5년 끝에 활력 되찾은 '원전 생태계'
[머니S리포트 - 다시 뛰는 K-원전, 글로벌 최강국 탈환] ① 정부 끌고, 기업 밀고… 기지개 켜는 원전 산업
최유빈 기자
5,836
공유하기
편집자주
탈원전 정책을 폐기한 정부가 국내 원자력발전 생태계 복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이 재개되면서 원전 기업들도 모처럼 쏟아진 일감에 환호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정부 지원 아래 차세대 원전으로 불리는 소형모둘원전(SMR) 기술 선점에 사활을 걸며 글로벌 최강국 지위 탈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원전시장에 만연한 고질적인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다.
|
▶기사 게재 순서
①신한울 3·4호 '5兆 단비'… 탈원전 5년 끝에 활력 되찾은 '원전 생태계'
②방폐물·소송·인력난… 원전 강국 복원에 놓인 '장애물'
③K-원전의 미래, SMR 개발 박차… 선제 준비 '착착'
①신한울 3·4호 '5兆 단비'… 탈원전 5년 끝에 활력 되찾은 '원전 생태계'
②방폐물·소송·인력난… 원전 강국 복원에 놓인 '장애물'
③K-원전의 미래, SMR 개발 박차… 선제 준비 '착착'
정부가 원자력발전 생태계 복원을 위해 대규모 지원에 나서면서 관련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최근 창원 본사에서 신한울 원전 3·4호기 주기기 제작 착수식을 열고 원전 생태계 복원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신한울 원전 건설 공사가 재개되면서 일감절벽으로 고사 위기에 놓였던 중소 원전업체들도 화색을 띠고 있다.
원전 강국 재건 '신호탄' 터트린 신한울 3·4호기
|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탈원전 정책 폐기, 원전산업 경쟁력 강화'를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 일환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은 두산에너빌리티와 2조9000억원 규모의 신한울 원전 3·4호기 주기기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 이달부터는 2조원 규모의 보조기기 발주도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경북 울진군에 건설되는 신한울 3·4호기는 각각 2032년과 2033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로, 증기발생기, 터빈발전기 등 핵심 주기기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국내 460여개 원전 협력사와 주기기 제작에 필요한 소재, 부품 등을 생산한다. 제작에 동원되는 기계가공, 제관제작, 열처리 등도 국내 협력사에 발주를 시작하고 올해 2200억원 규모의 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중소 원전업체의 자금 지원을 위해 한수원과 두산에너빌리티는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 공정과 기성집행을 앞당기기로 했다. 현행 10%인 1차년 공정률은 15%로 확대했고 연말에 예정된 기성집행은 상반기 80%, 하반기 20%로 변경했다. 보조기기 계약 체결 기간도 현재 21개월에서 12개월로 단축한다. 국내 입찰 규모는 3000억원에서 1조3000억원으로 4배 이상 확대했다.
원전 뿌리기업인 영진테크윈의 강성현 대표는 "1년 전까지만 해도 앞날이 안 보였는데 지금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로 일감을 확보했다"며 "앞으로 원전 수출이나 소형 원전 등으로 일거리가 더 늘어나기를 바란다"고 했다.
원전 10기 수출 '박차'… 폴란드 수주 본계약 체결 예상
|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한국형 차세대 원전인 'APR1400' 노형, 기자재, 운영보수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한수원은 지난해 10월 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ZE PAK), 폴란드전력공사(PGE)와 현지 퐁트누프 지역에 원전 2기를 짓는 협력의향서(LOI)를 맺고 본계약 체결을 준비중이다. 이는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 이후 13년 만의 성과다. LOI는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점에서 계약 파기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폴란드 측의 계약 의사는 확고하다.
마치에이 스테츠(Maciej Stec) PGE PAK 원자력에너지 부사장은 지난 4월 '2023 원자력산업 국제회의'(ICAPP 2023)에 참석해 "본 계약은 언제든지 체결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방한의 핵심은 합작 법인 설립을 위한 투자율, 내부 인력을 정하고 본계약 날짜를 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원전업계의 해외 진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전수출전략추진위원회'를 출범했다. 원전수출전략추진위원회는 수출 전반을 지원하는 컨트롤 타워로 정부 부처와 금융기관, 공기업 등 약 30개 원전 유관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원전산업 경쟁력' 확보 총력… R&D에 2조원 쏟는다
|
정부는 '원전산업 최강국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기술력 확보에 나선다. 과거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해체·방사성 폐기물 등 후행주기에 편중된 정책 지원을 미래기술 확보와 수출 경쟁력 제고에 나설 방침이다. 주요 추진 전략은 ▲차세대 원전 시장 선도 ▲원전 수출 경쟁력 강화 ▲원전 융합기술 확보 ▲원전 안전기술 혁신 ▲후행주기 관리기술 완성 등 5개 항목이 선정됐다.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산업부는 수출대상국 맞춤형 표준설계와 기자재, 원전기반 융합시스템을 개발키로 했다. 수요국 노형 맞춤형 주기기 및 소재·부품·장비 설계, 제조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2027년 기자재 수출 5조원 달성을 위해 증기터빈, 계측제어기기 등 기술 기반을 강화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지난 5월 15일 두산에너빌리티 신한울 주기기 제작 착수식에서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공급계약은 원전 생태계 완전 정상화의 신호탄이 됐다"며 "이 과정에서 되살아난 활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1971년 고리1호기를 시작으로 총 31호기의 원전을 성공적으로 건설, 운영해 온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우리 원전이 세계 원전 시장의 중심에 서는 날까지 힘을 모아 달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최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