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무소속 의원의 코인 대량 보유 사태로 게임업계 내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그래픽=김은옥 기자
김남국 무소속 의원의 코인 대량 보유 사태로 게임업계 내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그래픽=김은옥 기자


◆기사 게재 순서
① 게임학회 vs 게임협회, 내분 발발
② 코인으로 로비를?… 'P2E 로비설' 어려운 까닭
③ 안 그래도 어려운데… 멀어지는 P2E



김남국 의원 사태로 게임업계가 두 동강 났다. 김 의원의 수 십억원 게임사 코인 투자가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와 가상자산 등과 관련된 입법을 유리하게 가져가려는 게임사 로비 세력의 작품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다.

의혹을 제기한 게임학회와 억측을 중단하라는 게임사·게임협회 사이 갈등이 격화돼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실체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이어지자 게임학회는 검찰이 밝혀낼 일이라는 한발 물러섰다. 로비설 등 명예훼손 문제가 법적 공방으로 비화한 가운데 정부의 책임 있는 역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내홍 겪는 게임업계… 격화되는 진실 공방

김남국 무소속 의원. /사진=뉴스1
김남국 무소속 의원. /사진=뉴스1


게임업계가 내홍을 겪고 있다. 국회를 상대로 P2E 규제 완화 로비를 펼쳤다는 의혹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게임사들은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지만 진실을 둘러싼 갑론을박은 이어지고 있다.


한국게임학회는 지난 5월10일 김 의원이 위메이드가 발행한 코인 '위믹스' 수 십억원 어치를 보유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몇 년 전부터 P2E 업체와 협회, 단체가 국회에 로비하는 것 아닌가 하는 소문이 무성했다"며 "위믹스를 둘러싼 이익공동체가 형성된 결과가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위믹스와 P2E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모인 '이익공동체'를 해체하고 여야 의원을 비롯한 국회 보좌관까지 위믹스 보유 여부 및 투자 내역을 전수조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위메이드는 다음날 '국회 로비설'을 즉각 반박했다. "로비는 사실무근이고 오히려 한국게임학회에 2020년부터 각종 학술발표대회뿐 아니라 설립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등 관련해 총 5회에 걸쳐 2800만원을 후원한 적은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둘러싼 갈등의 골은 계속 깊어졌다. 급기야 한국게임산업협회까지 나섰다. 게임협회는 지난 5월17일 성명을 통해 "(위 학회장은) 개인의 추측 및 견해에 불과하거나 진위가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공개적으로 퍼트려 게임산업의 위상을 실추시키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같은 날 위메이드는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을 형사고소 했다. 위메이드의 가상자산 '위믹스'의 투자자 커뮤니티인 '위홀더' 회원들 역시 위정현 학회장이 위메이드 그룹주 및 위믹스 가격하락을 촉발했다며 법적 절차를 밟기로 했다.

의혹 제기한 게임학회, 역풍에 '곤혹'… "문체부 나서야"

위홀더 네이버카페 화면. /사진=위홀더 네이버카페
위홀더 네이버카페 화면. /사진=위홀더 네이버카페


이번 사태는 김남국 코인 사태로 촉발된 것으로 보이지만 그동안 누적된 게임업계의 불만이 표출됐다는 시각이다. 한국게임산업협회가 다수의 게임사를 회원사로 두고 있는 만큼 회원 동의를 거친 협회 입장은 곧 게임업계의 의견으로 봐도 무방하다는 판단이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이 그동안 게임사를 상대로 많은 비판을 해왔지만 이를 최대한 존중하는 입장이었다"며 "최근 들어 그러한 태도가 노골화되고 급기야 '위믹스 이익공동체' 발언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과정에 한국게임학회 후원금 사용 내역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민간 설립인 만큼 후원금 사용 내역 등을 공개할 의무는 없지만 게임업계 전반을 비판하려면 스스로를 엄격하게 되돌아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게임업계 관계자는 "학회장 개인의 정치적 욕심 및 후원 거절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특정 회사에 대한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한 비판이 크다"며 "거액 후원 또는 연구 용역 거절 등을 이유로 학회장 개인이 해당 기업에 압력을 행사하는 일이 빈번했다"고 주장했다.

위홀더는 지난 5월24일 성명서를 내고 "독촉에 가까운 후원요청을 받은 곳 중 대부분은 위메이드보다 더 많은 금액을 억지로 냈다"며 "적게는 300만~500만원 크게는 1000만원 이상 단위도 있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후원금 대부분은 세미나와 관련 연구 비용으로 책정됐지만 별다른 증빙도 없었다"며 "지금까지 공개하지 않고 있는 후원금 내역과 위믹스 관련 의혹제기에 대한 근거 자료 제출도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게임학회는 후원금 사용은 모두 영수증 처리를 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검사·관리·감독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한국게임학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비영리법인으로 관리 및 감독 권한을 문체부 게임콘텐츠산업과가 갖고 있다.

게임학회의 폭탄 발언으로 게임업계가 들썩이는 가운데 주무 부처인 문체부가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위홀더 회원들은 게임학회에 대한 감사 및 관리감독을 요청하는 민원을 문체부에 신청한 상태다. 또 다른 게임사 관계자는 "게임학회 후원금 문제와 관련해 게임사들이 개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문체부가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주길 촉구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