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해 CVC 규제 개선을 촉구했다. / 사진=뉴시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해 CVC 규제 개선을 촉구했다. / 사진=뉴시스


최근 5년간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유니콘 기업 비중이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1일 주요국의 유니콘 기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2023년 5년 동안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수는 449개에서 1209개로 2.7배 늘어난 반면 한국의 유니콘 기업 수는 10개에서 14개로 1.4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국 유니콘의 전세계 비중은 2.2%에서 1.2%로 1.0%포인트 감소했다.


주요 국가별 유니콘 기업수는 대부분 증가했으며 비중이 증가한 국가는 미국(48.6%→54.2%), 인도(4.5%→5.8%), 프랑스(1.1%→2.1%), 이스라엘(1.6%→2.0%) 등이며 감소한 국가는 중국(24.3%→14.0%), 영국(5.3%→4.1%), 한국(2.2%→1.2%), 인도네시아(1.1%→0.6%) 등이다.

전세계 유니콘 기업의 가치는 2019년 1조3546억달러에서 2023년 3조8451억달러로 183.9%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한국은 290억달러에서 325억달러로 12.0%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세계 유니콘 기업가치 중 한국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1%에서 올해 0.8%로 5년 전에 비해 1.3%포인트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올해 기준 한국의 유니콘은 이커머스(28.6%),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21.4%), 모바일 및 통신(14.3%) 등 일부 업종에 집중돼 있었다.


세계적으로 유니콘이 많은 업종은 핀테크(21.3%),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18.9%), 이커머스(8.9%), 헬스케어(8.0%), 인공지능(7.6%), 공급망·유통·배달(5.5%), 사이버 보안(4.8%) 순이었다.

한국 유니콘 기업수는 주요 국가 대비 이커머스(28.6%), 모바일&통신(14.3%), 소매(7.1%) 업종의 비중이 높은 반면 핀테크(7.1%), 헬스케어(0%), 데이터 관리&분석(0%), 인공지능(0%) 분야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유니콘 기업은 혁신 촉진, 신산업 발굴, 고용 확대 등 다양한 순기능을 갖는다. 주요국은 스타트업 창업을 장려하고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종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스타트업의 성장과 유니콘 증가를 위해서는 스타트업 성장 과정에서 원활한 투자가 필수"라고 지적하며 "이를 위해서는 CVC 규제를 개선하고 스타트업이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