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깃발. 2021.6.4/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국방부 깃발. 2021.6.4/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국방정보화 분야 최상위 정책과 핵심 과업을 담은 계획서 '국방정보화기본계획'의 발간 주기가 짧아진다. 군 당국은 이를 통해 민간의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국방 분야에 빠르게 적용하고 국방정보화 업무를 더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4일 군 당국에 따르면 국방부는 지난 20일 '국방 정보화업무 훈령' 개정을 통해 국방정보화기본계획 명칭을 '국방지능정보화종합계획'으로 변경하고, 발간 주기를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한다고 밝혔다.

'국방지능정보화종합계획'은 '국방정보화 기반조성 및 국방정보자원관리에 관한 법'(국방정보화법)에 따라 국방부 장관이 수립한다.


이 계획엔 △국방정보통신망 및 국방정보시스템 구축·고도화 △국방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 △국방정보기술 표준화 및 상호 운용성 확보 △국방정보화 연구개발 △국방정보화 인력의 양성 등 내용이 담긴다.

국방부는 이 계획을 바탕으로 매년 국방정보화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국방정보화사업을 추진한다.


지난 2019년 수립된 계획엔 국방정보화 추진체계 및 예산 효율성 강화, 첨단 정보통신기술 적기 도입 및 적용 확대, 서비스 기반 정보시스템 고도화, 데이터 관리능력 제고 등의 추진 방향이 담겼다.

국방부의 이번 훈령 개정으로 계획의 발간 주기가 단축되면서 이르면 올해 중 새 문서가 만들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군 관계자는 "국방정보화기본계획으로 신기술의 군 도입을 위한 제도가 마련됐지만 지능정보화 추진과 지능정보기술의 군 도입 활성화 및 신속 도입 관점에서 5년은 너무 길다는 지적이 있었다"고 이번 훈련 개정 배경을 설명했다.

군의 다른 관계자는 "기존 계획의 미비점 분석과 매년 수립하는 시행계획과의 연계성 연구도 상당 부분 진행된 것으로 안다"며 "'과학기술강군' 육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국방정보화 업무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