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 고령화에 기초연금 인상이 답일까
정영희 기자
8,073
공유하기
|
제27회 노인의 날을 맞은 가운데 급속한 한국 인구 고령화에 따른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1997년 '노인복지법'에 의해 매년 10월2일을 노인의 날로 지정했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공경 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다. 국제연합(UN)은 1991년부터 매년 10월1일을 '세계 노인의 날'로 정하고 있다.
한국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는 추세다. 통계청의 '2023 고령자 통계' 조사 결과 올해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950만명에 육박한 949만99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8.4%에 달한다. 고령 중에서도 올해 100세를 맞은 인구는 2623명으로 누적 100세 이상 인구 수는 8929명으로 집계됐다. 여성 7403명, 남성 1526명이다.
이대로라면 내년 노인 인구는 1000만명을 넘기고 2년 후인 2025년에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2035년엔 전체 인구의 30% 이상, 2050년엔 전체 인구의 40% 이상이 고령층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한국 고령층의 경우 빠른 산업화와 경제적 성장이라는 시대적 배경과 달리 자신들의 노후 준비는 부족한 경우가 빈번하다. 실제로 우리나라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2021년 기준 39.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상위 수준에 달한다.
노인 빈곤을 완화하고 노년의 삶을 지원하고자 정부는 올해 기초연금으로 전년 대비 5.1% 상승한 월 최대 32만3180원을 지급하고 있다. 소득 하위 70%까지 수령 가능하다. 내년에는 1인 가구 기준 기초연금 지급액이 33만4000원으로 인상될 예정이다. 정부는 기초연금 지급액을 40만원까지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정영희 기자